인류의 5%만 알고 있는 진실: 지구야 미안해
태평양 쓰레기 섬에 대해서 들어 보았는가? 위성에서도 찍히지 않고 지도 상에도 나타나 있지 않지만 전 세계 해양에 떠다니는 거대 쓰레기 섬은 알려진 것만 5개이고 규모 또한 우리 상상을 초월한다. 그 중에서도 소위 ‘태평양 대쓰레기장’ 이라 불리는 이 섬은 하와이 북동쪽 1,600km 가량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고 남한 면적의 14배 (140만㎢) 에 달하는, 가히 제 7의 대륙이라 불릴 만한 규모를 자랑한다. 2001년 해양학자 조사에 따르면 이 해역에는 ㎢당 33만5000점의 쓰레기 조각들이 분포하고 있었다고 하니 10여 년이 지난 지금은 그 보다 더 악화됐을 것이라 짐작할 수 있다.
http://pds.joinsmsn.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104/20/htm_2011042002065030003010-001.JPG
이 쓰레기 섬을 처음 발견한 사람은 미국 캘리포니아에 사는 찰스 무어라는 환경 운동가다. 그는 1997년 로스앤젤레스에서 하와이까지 태평양을 횡단하는 항해 경기에 참가해 알루미늄 쌍동선을 몰고 가다가 하와이 호놀룰루 근처에서 쓰레기로 이루어진 신대륙과 맞닥뜨렸다. 그는 그 곳을 플라스틱 컵과 병뚜껑, 고기잡이 그물과 낚싯줄 등 온 세계에 있는 쓰레기들이 다 모여있는 ‘태평양 대 쓰레기장(Great Pacific Garbage Patch)’ 이라고 정의했다. 이 곳은 1년 내내 적도의 더운 공기가 고기압을 이루면서 서서히 소용돌이 치며 바람을 빨아 들이기만 하고 내보내지 않아 배들이 다니지 않는 곳이다. 고기압 아래에서는 해수면이 시계방향으로 느리게 돌아가며 소용돌이를 그리고, 환태평양 지대를 흐르는 바닷물의 절반은 해류를 따라 이곳으로 오게 되는데 이 지점에서 해류가 급격히 느려지며 쓰레기들이 모이게 된다.
해양학자들의 조사 결과 쓰레기 더미를 이루는 플라스틱 조각들은 해풍과 자외선 등에 의해 대부분 쌀알 크기로 잘게 부숴져 떠다니고 있었다고 한다. 섬이라고 해서 사람이 발을 딛을 수 있게 딱딱한 물질로 굳어 있는 것이 아니라 그야 말로 물에 둥둥 떠다니는 플라스틱 더미라고 보면 쉽게 이해 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북태평양 쓰레기섬을 이루는 물질의 대부분이 바닷가와 인근 해안에서, 나머지는 항해 하는 배에서 발생 하는 쓰레기라고 보고 있다. 3천명 이상의 승객이 탄 대형 크루즈 선박이 매주 8톤 이상의 쓰레기를 배출한다고 하니 실로 양이 엄청나다.
http://greatpacificgarbagepatch.info/images/plastic1.jpg
http://motherjones.com/files/images/chrisjordan.jpg
안타까운 사실은 수거처리가 불가능 할 정도의 엄청난 양이라 근본적으로 해결방법이 없다는 것이다. 플라스틱은 한 해 약 900억 킬로그램 이상이 생산되며 10%가 바다로 유입되며 그 중 70%는 가라앉고 30%는 바다 위를 유령처럼 떠다니고 있다고 한다. 이에 찰스 무어는"지구의 25%는 절대 내려가지 않는 변기가 되는 셈이다." 라는 말을 하며 폐플라스틱 처리의 어려움을 호소했다. 더 안타까운 소식은 한 달 전 일본 대재앙 쓰나미 사태로 인해 이 바다 쓰레기 양은 더 늘어 날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미국 ABC방송은 쓰나미가 만들어 낸 거대한 쓰레기 더미가 해류를 타고 동쪽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2년 후에 미 서부 지역에 도달 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이 쓰레기 더미에는 20여만 채의 파괴된 건물 잔해 뿐 아니라 1만4000여 명에 달하는 실종자 시신의 일부가 포함돼 있을 수 있다고 방송은 덧붙였다.
쓰레기섬의 처리 방안으로 바다에 버려진 50g 페트병 4개정도로 200g의 티셔츠 한장을 만들수있고 버려진 어망으로 등산복을 만드는 등 쓰레기 재활용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재활용을 해서 얻는 수익 보다 쓰레기 수거 비용이 더 많이 들고 있다고 한다. 게다가 쓰레기섬의 위치가 공해상이기 때문에 선뜻 어느 나라가 앞장서서 적극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도 있다.
자연에서 얻은 재료가 자연을 파괴한다는 사실은 참으로 아이러니하고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우리는 받는 것만 알고 주는 것은 알지 못하는 어리고 철없는 아이의 모습이 아닌 베풀며 사랑할 줄 아는 성숙한 태도로 자연을 대해야 한다. 자연을 사랑하는 일은 개인의 생활에서 작고 사소한 것부터 실천 해야 한다는 것을 명심했으면 하는게 오늘 필자의 작은 바람이다.
'EDITORIAL > 사회 :: Current Issu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마초는 마약인가 (28) | 2011.08.24 |
---|---|
Entertainers - Just That or Public Figures? (2) | 2011.08.11 |
인류의 5%만 알고 있는 진실: 지구야 미안해 (11) | 2011.05.03 |
행동하는 대학은 아름답다 - 서울에서 띄우는 편지 [객원필진 NorCalSpirit] (4) | 2011.04.05 |
대한민국의 동물보호법의 현재와 미래 (4) | 2011.03.30 |
脫北, 행복과 불안감이 찍은 낙인 (3) | 2011.02.21 |
정말 불편한 진실이네요..
보면서 가슴이 먹먹해지는...
잘 보고 갑니다 많이 알려야겠네요~
눈앞에서는 보이지만, 분명 지구 어딘가..아니면 동네 어딘가에서 쓰레기 점유율이 높아지고 있다고는 한번쯤 상상해보았어요..세월이 흐르면 언젠가 지구가 넓어도 쓰레기둘데도 없어지는 건 아닌가 하는...
쓸모없는 포장을 안하는 것 위주로 쓸려고 해도, 진짜 엄청나게 울집에서도 비닐류, 포장지 같은게 많이 나오네요;
음..근데 저 새 사진은 뭔가요?? 뭔가 흠칫했어요..쓰레기섬때문에 죽는다는게 저 새처럼 죽는다는 걸 의미하는것일까요...안타깝습니다.
그 쓰레기섬의 크기는 상상이상 입니다. 웹사이트에 보면 섬의 크기가 텍사스 주의 두 배라고 하니, 서울보다 200배 이상 크겠네요...;; (텍사스 주의 면적은 약 70만 제곱 km)
좋은 글 감사합니다 ~
예전에 order of magnitude로 바다에 과연 얼마나 많은 플라스틱이 떠다닐까 계산한 적이 있었는데 그 때 그 양이 너무 많은 것 같다고 생각했었더라는. 그런데 실제로 이렇게 보니 더 심각하네요...
쓰레기 자동 재활용해줄 수 있는 기술, 기계를 개발한다면
세계에 엄청난 공헌을 할 수 있겠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