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DITORIAL/사회 :: Current Issues

MBTI는 그저 재미일뿐

<1>

        몇 년 전부터 사람들에게 많은 주목을 받기 시작한 성격 검사가 여전히 인기를 끌고 있다. 이름하여 MBTI는 Myers-Briggs Type Indicator의 약자로 캐서린 브릭스(Katherine Briggs)와 그의 딸 이사벨 브릭스 마이어스(Isabel Briggs Myers)가 스위스의 정신분석학자인 카를 융(Carl Jung)의 심리 유형론을 토대로 고안한 자기 보고식 성격 유형 검사 도구이다. 외향성(Extraversion)와 내향성(Introversion), 감각형(Sensing)과 직관형(iNtuition), 사고형(Thinking)과 감정형(Feeling), 판단형(Judging)과 인식형(Perceiving)의 네 가지 지표에 따라 총 16가지 유형으로 성격이 나누어진다. 심리학에서는 인간의 성격 특성을 가장 잘 분류하는 도구로 평가받고 있지만, 정신건강의학과에서는 그저 흥미 요소로 볼 것을 권한다.

        MBTI는 재미로 사람의 성격을 알 수 있는 좋은 도구이기는 하지만 그 사람의 성격을 아주 대변하지는 않는다. 이와 더불어 다른 심리 지표보다 신뢰도와 타당도가 떨어진다는 비판이 제기된 바 있다. 먼저 유효성이 낮은데,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측정하지 않고 예측 동력이 없음은 물론 일반화할 수 없는 품목이 없기 때문이다. 또한 신뢰도 역시 낮은데, 같은 사람이라 하더라도 처한 상황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또한 검사하는 과정에서 설문에 의도를 파악하여 다른 답을 선택하거나 실제 본인이 아닌 본인이 되고 싶은 성격 등을 선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역시 믿을만하지 못한다. 사실 사람을 16개로 분류한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 된다. 같은 MBTI여도 사람마다 매우 다른 경우가 많은데 그런 사람들을 같은 카테고리로 묶는 것 자체가 말이 되지 않는 것이다. 이 검사는 혈액형, 별자리, 사주와 별반 다르지 않은 그저 하나에 재미에 불과한 것이다.

        그저 대화 주제로는 이만한 것도 없다. 여러 가지 논쟁을 펼칠 수 있는 것은 물론 사람의 성격을 어느 정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문제는 재미를 넘어 이를 진심으로 받아들이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이다. 가장 흔한 예로는 최근에 기업 혹은 일자리에서 사람을 채용하는 과정에서 특정 MBTI를 선호하거나 원서조차 받지 않는다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 취업을 위해 자신의 성격 결과를 거짓말까지 했다는 글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성격 검사는 사람을 알아가는 데 있어 조그만 역할을 할 뿐 업무와는 크게 상관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색안경을 끼고 사람을 대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들이다.

        결론은 MBTI는 그저 재미로만 즐겼으면 한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성격과 성향을 바꾸기는 어렵다. 그렇기에 자신의 마음에 들지 않는 부분에 대해 계속 신경쓰고 스트레스를 받을 필요가 없다는 말이다. 내가 누군가에게 맞출 필요가 없기 때문에 눈치볼 필요도 없다. 만약 누군가가 내 성격 때문에 나를 싫어한다면 같이 싫어하거나 외면하면 된다. 정 자신의 성격을 바꾸고 싶다면 조금 노력해 보는것도 나쁘지는 않다. 하지만 그것에만 매달리지는 말고 자신이 살고 싶은데로 성격대로 사는 것이 가장 좋다

 

이미지 출처

<1> https://www.facebook.com/103586694894091/photos/103614124891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