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난도 교수의 게으름에 대한 충고"라는 글을 읽어 본 적이 있으신가요? 트위터 @kimrando
그래,그래, 자네가 요즘 슬럼프라고?
나태의 늪에서 좀처럼 헤어나기가 어렵다고?
그런 날들이 하루이틀 계속되면서 이제는 스스로가 미워질만큼, 그런 독한 슬럼프에 빠져있다고?
왜, 나는 슬럼프 없을 것 같아?
이런 편지를 다 했네, 내 얘길 듣고 싶다고.
우선 하나 말해 두지, 나는 슬럼프란 말을 쓰지 않아,
대신 그냥 ‘게으름’이란 말을 쓰지.
슬럼프, 라고 표현하면 왠지 자신을 속이는속이는 것 같아서…
지금부턴 그냥 게으름 또는 나태라고 할께.
나는 늘 그랬어. 한번도 관료제가 견고한 조직생활을 해본 적이 없었지.
하다 못해못해 군대도 학교(육군제3사관학교)였다니까?
그렇게 거의 25년을 학생으로 살다가, 어느 날 다시 교수로 위치로 바꾼 것이 다라니까?
복 받은 삶이지만, 어려운 점도 있어.
나를 내치는 상사가 없는 대신, 스스로를 관리하지 않으면 안되는 게 내 삶이었거든.
그래서 늘 힘들었어, 자기를 꾸준이 관리해야 된다는 사실이.
평생을 두고 나는 ‘자기관리’라는 화두와 싸워왔어.
사람이 기계는 아니잖아…
감정적인 동요가 있거나, 육체적인 피로가 있거나,
아니면 그냥 어쩌다 보면 좀 게을러지고 싶고,
또 그게 오래 가는 게 인지상정이잖아…
교수라는 직업이 밖에서 점검해 주는 사람이 없기 때문에 슬럼프, 아니 나태에 훨씬 쉽게 그리고 깊게 빠져.
내가 자주 그렇다니깐? 자네들에게 표현을 안해서 그렇지.
난 나태란 관성의 문제라고 생각해.
자전거는 올라타서 첫페달 밟을 때까지가 제일 힘들지.
컴퓨터 켜기도, 자동차 시동걸기도, 사는 것도 마찬가지야.
정지상태를 깨는 첫 힘을 쏟는 모멘텀을 줄 의지가 관성이 치여버리는 현상...
난 그것이 자네가 말하는 ‘슬럼프’의 합당한 정의라고 생각해.
근데, 문제는 말야, 나태한 자신이 싫어진다고 말은 하면서도 그 게으른 일상에 익숙해져서 그걸 즐기고 있단 말이지. ‘슬럼프’에서 벗어나고 싶다고 말하면서도, 실은 그걸 즐기고 있단 말이지.
실은 자네도 슬럼프를, 아니 오랜만의 연속된 나태를, 지금 즐기고 있는 거라면
이 글을 여기까지만 읽어.
딱 여기까지만 읽을 사람을 위해 덕담까지 한 마디 해줄게.
“슬럼프란 더 생산적인 내일을 위한 재충전의 기간이다.” 됐지? 잘 가.
하지만, 위에 쓴 덕담은 거짓말이야.
너무 오래 나태하면 안돼. 자아가 부패하거든,
그러면 네 아름다운 육신과 영혼이 슬퍼지거든, 그러면 너무 아깝거든.
그러니까, ‘정말’슬럼프, 아니 나태에서 벗어나겠다고 스스로 각오해.
그리고 이 다음을 읽어.
보통 ‘슬럼프’ 상태에서는 정신이 확 드는 외부적 자극이 자신을 다시 바로 잡아주기를 기다리게 되거든?
어떤 강력한 사건의 발생이나, 친구/선배의 따끔한 한 마디,
혹은 폭음 후 새벽 숙취 속에서 느끼는 어떤 깨달음 같은 것이라도…
그런 걸 느낄 때까지는 자신의 게으름에 대한 자학을 유보하거든?
땍! 정신 차려 이 친구야, 그런 자극은 없어, 아니면 늘 있어.
정말 중요한 것은 결국 자신이란 말야.
그 자극을 자극으로 받아들이고, 그걸 생활의 실천으로 옮기는 스스로의 노력이 없으면 그런 자극이 백번 있어도 아무 소용 없단 말야. 정말 나태에서 벗어날 참이면 코끝에 스치는 바람에도 삶의 의욕을 찾고, 그러지 않을 참이면 옆에 벼락이 떨어져도 늘 같은 상태라니까?
내가 자네만할 때는 말이지, 가을이면 특히 11월이면, 감상적이 되고 우울해지고 많이 그랬거든?
"자 11월이다, 감상적일 때다" 하고 자기암시를 주기도 하고…
그래 놓고는 그 감정을 해소한다고 술도 마시고, 음악을 듣고…
그러면 더 감상적이 되고… 지금 생각해 보면 그걸 은근히 즐겼어.
딱지가 막 앉은 생채기를 톡톡 건드리면 따끔따끔 아프지만 재밌잖아?
내 젊은 날의 버거움이란 그런 딱지 같은 거였나봐.
나도 철이 들었나보지? 차츰 해결법을 찾았어.
감정은 육체의 버릇이라는 걸 깨닫게 된거지.
일조량의 부족, 운동량의 부족, 술/담배의 과다…
즐기지 않는 감정적인 문제에 근원이 있다면 그런 거야.
난 정말 감정에서 자유롭고 싶으면 한 4마일 정도를 달려.
오히려 술도 되도록 적게적게 마시지, 몸이 아니라 마음을 위해서.
그리고 무엇보다 일을 해. 꽤 효과 있어.
더 근원적인 건 '목표'의 문제야. 나태는 목표가 흐려질흐려질 때 자주 찾아오거든.
선생님 같은 나이에 무슨 새로운 목표가 있겠니? 내 목표란 '좋은 선생' '좋은 학자' 되는 건데, 그 '좋은' 이라는게 무척무척 애매하거든.
목표는 원대할수록 좋지만, 너무 멀면 동인이 되기 힘들어.
그래서 나나 같은 경우엔 더 작고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지.
대개 일주일이나 한달짜리 목표들…
슬럼프에서 벗어나고 싶어? '정말로' 원한다면 해결은 생각보다 쉬워.
'오늘' 해결하면 되. 늘 '오늘'이 중요해.
"오늘 할 일을 내일로 미루지 말라," 뭐 이런 차원이 아니야.
그냥 오늘 자전거의 첫페달을 밟고 그걸로 만족하면 되.
그런 오늘들이 무섭게 빠른 속도로 모이거든, 나태가 관성인 것처럼 분주함도 관성이 되거든.
사실은 선생님도 먼 나라에 혼자 떨어져서 요즘 감정적으로 무척 힘들어.
그래서 물리적인 생활을 무너뜨리지 않으려고 굉장히 노력해.
육체적인 것이 중요하다고 했잖아? 늦게 자지 않고, 일찍 일어나고, 술 마시지 않고, 햇빛 아래서 많이 움직이고 걷고 뛰고, 꼭 1시간은 색스폰 연습하고, 몇 글자라도 읽고, 3페이지 이상 글쓰고…
나는 잘 알거든, 이런 육체적인 것들이 무너지면 걷잡을 수 없이 나태 속으로 빠지게 되는걸. 여러 번 경험했거든.
힘 내. 얘기가 길어졌지? 내가 늘 그래. 대신 긴 설교를 요약해 줄게. (선생님답지?)
일. 나태를 즐기지 마. 은근히 즐기고 있다면 대신 힘들다고 말하지 마.
이. 몸을 움직여. 운동하고, 사람을 만나고, 할 일을 해. 술 먹지 말고, 일찍 자.
삼. 그것이 무엇이든 오늘 해. 지금 하지 않는다면, 그건 네가 아직도 나태를 즐기고 있다는 증거야. 그럴거면 더 이상 칭얼대지 마.
사. (마지막이야 잘 들어?) 아무리 독한 슬픔과 슬럼프 속에서라도, 여전히 너는 너야. 조금 구겨졌다고 만원이 천원 되겠어? 자학하지 마, 그 어떤 경우에도, 절,대,로.
그거 알아? 모든 것은 흘러. 지나고 나면 이번 일도 무덤덤해 질거야.
하지만 말야, 그래도 이번 자네의 슬럼프는 좀 짧아지길 바래.
잘 자.
(아니, 아직 자지 마. 오늘 할 일이 있었잖아?)
김난도 선생님.
하루 하루 똑같은 일상 속에서 우리는 지쳐갑니다. 갑자기 주어진 자유는 망망대해처럼 넓은데, "어디로 배를 저어야 할 지 모르고 헤매는 이들에게는 어떠한 바람도 순풍이 아니"기에 힘듭니다. (몽테뉴) 하지만 게으름은 육체와 정신을 모두 녹슬게 하고, 마침내 우리를 움직이게 하는 모멘텀도 사라지게 만듭니다.
김난도 선생님의 "게으름에 대한 충고"는 게으름에 빠져 꼼짝할 수 없게 된 이들에게 송곳같은 질타를 가하는 글입니다. 다음 글은 김난도 선생님의 글에 대한 제 답글입니다. 청년 실업, 88만원 세대, 양극화, 스펙만능주의, 가치관 혼란 등 우리를 괴롭게 만드는 것들은 많지만, 다들 힘내시기 바라며 이 글을 띄웁니다.
이것이 자네가 말하는 이유인가? 흔히들 말하는 '질풍노도의 시기' '청춘의 고뇌' 뭐 이런건가? 하지만 그건 나태함을 겉멋으로 포장한 것에 불과하네. 자네 말대로라면, 오늘도 셀 수 없이 많은 20대들이 컴퓨터 앞에 앉아, 인생의 참 의미를 찾아 '고뇌'하고 있다네.
나도 게으른 삶이 얼마나 편한지 안다네. 하지만 시궁창이 아무리 편하다 해도 언제까지 거기 남아 있을 수는 없잖은가. 시궁창에 오래 있으면 가장 순수한 것들조차 썩어버리고 만다네. 자네 영혼은 냄새나는 시궁창이 아니라 보다 아름다운 곳으로 가고 싶다며 울고 있는데, 자네는 어째서 빠져나오려 하지 않는건가?
아름다움을 추구하고, 인류의 행복에 위해 힘쓰며, 이 세상에 머무는 시간 한 점 한 점을 진하게 즐겨야할 자네 영혼이, 침대 한 구석에서 썩어가고 있네. 슬퍼해야 할 일일세. 자네를 사랑하고 아끼는 이들 앞에서 부끄러워야 할 일일세. 마땅히 가슴을 쳐야 할 일일세!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네. 나태함에서 빠져나오게. '내일부터'가 아니라 '지금 글을 읽는 이 순간부터'일세. 지금까지 수도 없이 계획하고 실패하고 했다는 걸 나도 알고 있네. 하지만 중요한 것은 그럼에도 내딛는 한 걸음일세.
삶의 진정한 의미를 이야기하기엔 우린 아직 너무 어리다네. 하지만 시궁창에서는 아무것도 찾을 수 없지 않겠는가. 위대한 인물들도 시궁창에 빠지곤 하지만, 오래 머무르지는 않는다네. 자네가 위대한 인물이 될 것을 믿어 의심치 않는 한 사람으로써, 나의 충고를 부디 새겨 듣길 바라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