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사, 필수 과목인가 선택 과목인가?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이런 변화는 꽤 오래전에 이루어졌다.
7차 교육과정에 의하면, 우리나라는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에 의하여 의무교육은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10년이였다. 하지만, 여러번의 교육과정 개정에 의해서 10년의 의무교육은 초등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 9년으로 바뀌었다. 그러면서 고등학교의 교육은 더 이상 의무교육이 아니게 되면서, 학생들의 선택에 의해서 수업을 들을 수 있다. 그러면서 수업 선택의 폭이 넓어졌지만 동시에 많은 문제점도 나타났다. 그런 문제점들 중에서 필자가 얘기하고 싶은 부분은 국사라는 과목에 대해서이다.
서울의 모 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진 설문조사에 의하면, 문과 수험생들 중에서 수능에서 국사를 볼것이라고 답한 학생은 40명의 한 반에서 3명 밖에 없었다. 당연히, 전국의 수험생중에서 일부분였던 40명 학생들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가 전체를 대변한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실제로 수능에서 국사 과목 선택자는 매년 감소했다. 2004년까지는 필수였지만, 2005년부터 선택과목으로 전환후, 2005년도 수능에서는 사회탐구영역을 치른 응시자의 48.7%만 국사를 선택했다. 심지어 2010년도 수능에서는 사탐을 응시한 수험생의 18.7%였고, 전체 수험생의 10.7%만 국사를 선택하였다. 이는 우리나라 학생 10명 중 9명은 국사를 공부하지 않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것이다. 더군다나 2014년도 수능부터는 사회탐구영역에서 선택과목을 하나만 골라도 된다고 하니, 18.7%라는 수치는 더 낮아질지도 모를것이다.
교육에서 학생들에게 아주 많은 선택권을 준다고 하는 미국에서도 대학입시에서 미국사는 필수과목이다. 다른말로는 최소한 1년은 들어야 한다는것이다, 고등학교든 대학교이든 말이다. 하지만 그에 비해 우리나라의 대학 입시에서는 국사를 필수로 요구하는 대학들은 거의 없다.
그리고, 이런 국사를 ‘싫어하는’ 현상에 대해서, 이영덕 대성학력개발연구소장은 "서울대가 국사를 필수로 정한 뒤로 우수한 학생들이 국사를 선택하자, 다른 학생들은 표준점수에서 불리하다고 여겨 더욱 국사를 멀리하게 된 측면도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우리나라에서는 더이상 국사 교육은 경쟁력이 있지 않다고 판단되어 온거다.
중국의 동북아 공정.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이러한 주장들에 대해서 선택 과목으로 바뀐 국사를 거들떠보지도 않는 학생들은 어떠한 주장을 펼칠지 궁금하면서도 무섭기도 하다.
더이상 필수가 아닌 선택으로 바뀐 국사. 이러한 변화 때문에, 학생들이 잘못된 지식을 가지고 살아간다면 그건 정말로 슬픈 현실이 될것이다. 내가 속한 집단, 혹은 국가의 과거를 잘못 알고 있으면 어느 순간 잘못된 지식은 우리 사회를 더이상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족쇄가 되어 돌아올것이다.
written by Simply Complex Life
'EDITORIAL > 사회 :: Current Issu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생 인권 조례: 위기도 혼란도 아니다 (1) | 2010.11.12 |
---|---|
흡연, 우리 주변의 테러리즘 (6) | 2010.11.03 |
국사, 필수 과목인가 선택 과목인가? (25) | 2010.10.30 |
나는 그들을 의심한다 (5) | 2010.10.26 |
한국은 왜 후보자의 약점에 열광하는가? (2) | 2010.10.19 |
'강남 유학생' 왜 줄어드는가? (1) | 2010.10.13 |
외국에서 생활한지 벌써 10년차가 되가면서 한국교육과 관련된 정보는 쉽게 접할 기회가 없었는데 이 글을 통해서 많은 걸 얻어갑니다.
부모가 언제 태어났는지, 고향은 어디인지, 어떻게 살아왔는지도 모르는것과 같군요. 바꿔 말하면 내 자식이 내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살아왔는지도 모르고 산다...비유가 적절한지는 모르겠지만...ㅡ.ㅡ;;
3.1절을 삼점일점으로 읽는다고하니 할말이 없지만서도...
비단 국사문제만은 아닌듯...체육도 없고...음악,미술은 있나?
그렇다고 그시간에 인성교육을 하는것도 아니고...ㅡ.ㅡ;;
그리고 일부 고등학교에서는 체육,음악,미술 중 2개를 골라서 꼭 듣게 만들죠. 하지만 사실상 '내신 올리기'라는 명목하에 수업을 진행하죠. 초등학생 혹은 국민학생일때에는 어느 누구도 체육, 음악, 미술, 저 세개의 과목을 내신 혹은 점수를 위해서 하지 않았을겁니다....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바뀌어 버리게 된 학생들의 모습과 한국의 교육을 참으로 안타깝다고 생각합니다.....
독일에서도 역사가 선택이지만 적어도 한 학기는 의무적으로 수업을 받아야 합니다. 내신에 당연히 반영되지요. 참 역사가 찬반신세가 되었다는 것이 믿어지지 않습니다. 우리나라처럼 애국애국 앞세우는 나라에서....
우리 역사를 모르고 어떻게 미래를 설게 할수가 잇을 까요?
시간수도 늘려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6차 교육과정에서 국사를 공부했지만, 국사책에서 밑줄 긋고 박지원의 연암일기를 썼다, 강감찬 장군의 귀주대첩, 을지문덕의 살수대첩 이런 식으로 외우기만 했던 것 같아 국사 교육이 좀 변해야 하는 것도 있다고 생각은 합니다.
하지만 그래도 그렇지, 국사 교육의 비중이 줄어들다니.. 역사는 되풀이 되는데.
새로운 사람과 만나서 삽니다. 즉 배우자 중 한 사람이 조금이라도 공부해서 조금 더 출세를 하게 되면 출세한 사람은 바로 배신자가되어 더 나은 배우자를 찾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 그렇지는 않지만 이렇게 사는 사람이 많아지면 그 사회는 더 이상 발전 할 수 없습니다. 그런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모든 사람들이 배신감을 미리 느끼고 도와주기를 포기 하기때문입니다. 오히려 조금 더 못 배우게 만들기 위해 계속해서 싸움을 겁니다. 제발 도덕 교육을 유지해 주시길 간절히 바랍니다.
새로운 사람과 만나서 삽니다. 즉 배우자 중 한 사람이 조금이라도 공부해서 조금 더 출세를 하게 되면 출세한 사람은 바로 배신자가되어 더 나은 배우자를 찾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 그렇지는 않지만 이렇게 사는 사람이 많아지면 그 사회는 더 이상 발전 할 수 없습니다. 그런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모든 사람들이 배신감을 미리 느끼고 도와주기를 포기 하기때문입니다. 오히려 조금 더 못 배우게 만들기 위해 계속해서 싸움을 겁니다. 제발 도덕 교육을 유지해 주시길 간절히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