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해3

이번 여름, 국내여행은 어때? [커버 포토] 길다면 길었고 짧았다면 짧았던 2018년 봄학기가 어느새 끝나가고 기말 시험주까지 일주일 밖에 남지 않았다. 시험 기간의 고통은 잠시 재껴놓고 오늘은 여름동안 한국에 돌아가 있을 많은 독자들을 위해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 그리고 두번째로 큰 도시인 부산에서 가볼만한 곳 몇군데를 골라서 소개해보고자 한다. 서울러나 부산러라면 이미 익숙한 장소들도 많고 필자들보다 핫 플레이스들을 더 많이, 더 잘 알 수도 있겠지만 이 장소들과 얽혀있는 필자들의 추억과 경험도 같이 되돌아보면서 새로운 감흥을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다. 서울 특별시 1. 도심에서 캠핑을 즐기는 법, 난지 캠핑장 (마포구 상암동) [1] 반포지구에 있는 새빛둥둥섬, 여의도지구에서 출발하는 다양한 크루즈 등 한강 공원에서 할 수 있는.. 2018. 5. 1.
한일 관계에 대처하는 버클리 유학생의 자세 (본 글은 Berkop의 필진 김원순 군이 작성한 글입니다. 본 글은 Berkop의 견해와는 전혀 상관이 없음을 밝힙니다.) 애증 관계. 한국과 일본 간의 관계를 이보다 더 잘 나타낼 표현이 있을까? 최근에는 런던 올림픽 축구 3,4위전 경기에서 한국의 승리 후 박종우 국가대표 선수가 독도 세레머니를 했다가 메달을 박탈당할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아직도 한일 간에는 독도 영토 분쟁, 위안부 등 과거사 청산 문제, 동해, 독도 등의 표기 문제 등 풀리지 않은 갈등들이 얽히고 설켜 있다. 올해 4월에는 동해 표기 문제를 논의해 온 국제수로기구의 총회가 열렸는데 결국 동해 병행 표기는 무산되고 말았다. 이에 따라 동해 병행 표기 문제는 5년 뒤인 2017년에나 다시 논의될 거라고 한다. 많은 사람들은 정부의 .. 2012. 11. 16.
동해라는 표현은 부적절하다 한국인에게 알려져있는 동해라는 해역은 흔히들 남북한이 위치하고 있는 한반도의 동쪽과 일본 열도의 왼쪽 사이, 그리고 연해주와 약간의 중국 영토에 인접해 있는 바다를 나타내는 이름입니다. 우선은 태평양의 일부 해역으로 분류가 되며, 일본, 러시아, 중국 같은 주변국들을 포함해 전세계의 지도에서는 ‘일본해’라는 표기가 압도적인 명칭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하물며 공통 포기한 곳도 일본해를 우선적으로 포기하고 그 밑에 참고명의 형식으로 (동해) 라고 쓰는 것들이 보통이죠.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동해’라고 표기하며 북한에서는 ‘조선동해’ 라고 표현합니다. 이를 남한과 일본의 관점만을 해석해서 보자면 동해와 일본해라는 전혀 다른 뉘앙스를 가진 명칭이 충돌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다들 잘 아실 법한 문제들이 생겼습니다.. 2010. 10.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