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자3 우연의 조각 [cover] ‘우연을 마주하기: 인과로서의 필연을 넘어, 존재로서의 필연으로’ 우리는 살아가면서 수없이 많은 우연을 마주합니다. 때로는 우연히 길거리에서 전 애인을 만나 어색한 인사를 나누기도 하고, 우연한 아이디어로 성공해 일확천금을 얻기도 하며, 반대로 우연히 사고를 당해 다칠 수도 있습니다. 흥미로운 사실은, 많은 경우에 우리가 스스로 마주한 우연한 사건들을 논리적으로 설명하려 한다는 것입니다. 그 우연이 좋은 것이든 나쁜 것이든 말입니다. ‘내가 그 날 그곳에 가지 않았다면 이런 일을 당할 일이 없었을 텐데.’ 라거나 ‘우연처럼 보이지만, 사실 내가 성공할 수 있었던 건 내가 잘났기 때문이야. 라는 생각 등이 그 예시입니다. 어쩌면 이러한 생각은 당연할지도 모릅니다. 사람들은 예상치 못한 불행을.. 2017. 11. 7. <블랙 미러> - 과학의 발전과 인간다운 삶의 경계 매일 밤 우리를 괴롭히며 이불을 발로 차게 만드는 기억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잊히고 결국 머릿속 저 안쪽으로 밀려 기억을 하려 해도 잘 떠오르지 않게 된다. 아무리 진하게 박혔던 첫인상도 꾸준한 만남과 재조명의 기회가 있다면 바뀌게 될 수 있으며, 타인이 뒤에서 나를 어떻게 평가하는 지는 내가 어떠한 노력을 하든 타인의 마음에 달려있다는 것을 받아들이게 된다. 이러한 현상과 깨달음은 우리가 인간으로서의 평이함을 잊지 않게 해주고, 서로 쉬이 공존할 수 있게 해준다. 과연 우리가 절대 기억을 잊지 않고 원할 때마다 과거의 기억을 돌려볼 수 있다면 어떻게 될까? 과연 거울을 볼 때마다 다른 사람이 나를 평가하는 점수를 봐야 한다면? [1] 라는 한 영국 드라마는 이런 신선한 질문에 대한 상상력 넘.. 2017. 3. 14. 타격의 달인 장효조, 무쇠팔 최동원, 스포트라이트 뒤에 숨어있던 그들의 암(暗) 2011년 9월, 한국 야구사에 한 획을 그었던 두 야구계의 별들이 일주일 간격으로 하늘의 별이 되었다. 과거 한국 야구를 평정했던 천재타자와 천재투수의 별세소식은 많은 야구팬들에게 슬픔을 안겨 주었다. 80년대 4번의 타격왕과 5년 연속 외야수 부문 골든글러브를 수상했던 타격의 달인 장효조 삼성 2군 감독, 그리고 84년 시즌 27승과 한국시리즈 4승으로 롯데의 우승을 이끌었던 무쇠팔 최동원 전 한화 2군 감독. 야구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두 사람의 이름을 한번 쯤 들어봤을 것이다. 장효조 그리고 최동원, 이 두 사람은 공교롭게도 선수 시절부터 어찌보면 비슷한 길을 걸어왔었다. 장효조 감독은 대구상고(현 상원고) 출신으로 70년대 고교 야구시절부터 두각을 나타냈었던 야구 선수였다. 70년.. 2011. 10. 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