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DP3

Becoming a World Leader: 한국의 경제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전략 서론중립의 자세에서 분석적인 시각으로 세상의 변화를 공부하고, 나아가 그 변화 뒤에 기다리고 있는 기회를 바라볼 수 있는 사람은 과연 몇이나 될까?필자는 대학교 재학시절 많은 선택의 기로에 놓였었지만, 그 중 가장 잘했다고 생각하는 선택은 많은 이들의 선망의 대상인 경영학과를 버리고 경제학과를 택한 일이다. 경제학을 택함으로써 필자는 경영학도들이 볼 수 없는 넓은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 있게 되었고, 덕분에 무게 잡으면서 이런 글도 쓸 수 있게 되지 않았나 싶다. 경제학이 나에게 준 가장 큰 자산은 앞서 말한 중립적이고 분석적인 시각이라고 필자는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다.사실 BerkOp에 처음 글을 쓰기 시작하면서 흔히 사람들이 가볍게 생각하는, 혹은 경제학에서 주로 다루지 않는 주제에 대해 경제적.. 2012. 4. 17.
대만 알아보기 :: (6) 대만의 경제력, 그리고 혐한류 우선, 1인당 GDP나 GNI, PPP등의 수치를 고려했을 때는 확실히 대만이 한국보다는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1인당 GDP가 세계 최고 수준인 룩셈부르크나, 석유로 엄청난 부를 거머쥔 사우디아라비아, UAE, 쿠웨이트 등의 중동 국가들, 물류와 항만을 통한 중계무역으로 먹고사는 홍콩이나 싱가포르같은 도시국가들을 흔히 알려져 있는 일본이나 미국, 독일과 같은 국가들보다 잘 산다고 말하지는 않듯이, 이런 국민소득에 관련된 수치는 그 나라 개개인의 생활의 질을 평균적으로 반영할 뿐, 그 나라의 강대함이나 부유함을 재는 정확한 잣대라고 정의할 수는 없습니다. 좀더 넓게 생각해본다면, 특정 국가의 소득을 측정하는 방법이 현재 여러가지가 나와있고, 이에 따라 어느정도 대략적인 수치는 측정이 가능.. 2011. 9. 3.
대만 알아보기 :: (3) 대만은 단교 때문만으로 한국을 욕하나 한국과 대만 사이의 관계를 보자면 이전의 글들에서도 제가 말씀드렸다시피, 한국을 비하하거나 욕하는 대만과 이를 무시하는 한국의 입장 정도로 정의가 됩니다. 흥미로운 점은 이런 반한 감정들이 필자의 세대만 해도 그렇게 많지는 않다는 것이죠. 주로 많은 부분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언론에서의 의도적인 한국 비하들이 있을 수 있겠습니다만, 제 주변의 대만 친구들을 보면 한국과 대만이 단교한 줄도 모르는 녀석들이 많습니다. 따라서 한국을 비난하는 주체를 대만 전체로 싸잡아서 욕하기 보다는 의도적으로 한국을 평가절하하는 그런 언론사들의 문제가 더 크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돌려서 단교 과정을 모르는 대만인들이 한국을 욕하는 경우라면 단교 때문이 아닌 다른 이유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합니다. 제 개인적인 관점에서 보.. 2010. 1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