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접흡연2 금연정책: 허점, 부작용, 그리고 해결방안 [커버 포토] 보건복지부 통계에 의하면 2016년 성인 흡연율은 23.9%로 대한민국 성인 4-5명 중 한명은 흡연자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2007년 흡연율 25.3%보다 고작 1.4% 낮은 수치이며 22.6%까지 떨어졌던 2015년과 비교해 보면 1.3%만큼 다시 오른것을 볼 수 있다. 흡연자 인구가 높은 만큼 이와 관련된 정책들은 흡연자들 뿐만이 아니라 모든 사람들에게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 지난 몇년간 강행된 금연 정책들은 표면적으로는 성공적인 것처럼 보였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많은 허점들과 부작용들이 존재하는 실패한 정책들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글을 통해 필자는 안 보고 치나치기 쉬운 이 허점들에 초점을 두고 몇가지 개선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확대되는 금연 구역, 올라가는 담배값[.. 2018. 4. 5. 흡연, 우리 주변의 테러리즘 이 글을 읽는 독자들 여러분 대다수가 매일같이 일어나는 이 테러행각의 피해자이다. 아마 상당수는 가해자이기도 할 것이라고 미루어 짐작한다. 우리는 매일 아무렇지도 않게 테러리스트 무리 사이를 지나다니며 웃고 떠들고 일상을 즐기는 사이에 테러리즘의 피해자가 된다. 섭씨 500도에 육박하는 발열체를 휘두르며 들고 다니며 청산가리, 톨루엔, 일산화탄소, DDT, 비소, 메탄올 등등이 혼합된 죽음의 독가스를 살포하고 다니는 우리 주변의 테러리스트들은 지나칠 정도로 뻔뻔하다. 끔찍히 아끼는 친구가 피해자가 되건, 사랑하는 연인이 피해자가 되건, 아이를 몸에 밴 임산부가 피해자가 되건, 하교길의 천진난만한 초등학생이 피해자가 되건 아랑곳하지 않는다. 하도 일상화된 폭력이라서 그런지 선량한 피해자들도 적극적으로 저항.. 2010. 11. 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