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라늄2

버클륨과 시보그 [cover] [1] 원소 주기율표상 97번째 원소인 버클륨(Bk) UC 버클리 학생들에게 입학 전이나, 혹은 입학 후에 접하게 되는 학교에 관련된 것 중 가장 유명한 것은 무엇이 있을까. 그중의 하나는 분명, 학교 이름을 딴 원소 기호인 버클륨(Berkelium)일 것이다. 또한, 버클륨의 합성 및 발견을 주도한 과학자, 글렌 시보그(Glenn. T. Seaborg)의 이름 역시 과학에 관심이 있다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원소 이름 외에는 그다지 친숙하지 않아서 잘 알려지지 않은 원소인 버클륨과 학교를 대표하는 과학자 중 한 명인 시보그에 대하여 한번 다뤄보려 한다. [2] 원소 주기율표 화학을 공부하는 이들에게는 마치 사전과 같은 원소 주기율표. 중, 고등학교 학창시절을 거치면서 이를 접해보지.. 2017. 11. 21.
원자력 발전의 잠재적위험; 핵폐기물 BGM정보: http://heartbrea.kr/134252 인류가 지금과 같은 삶을 지속 하기 위해서 가장 필요한 것은 아마도 무한에 가까운 에너지 생산일 거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현재 우리가 최고로 의존하고 있는 석유는 20년에서 30년 후면 고갈될 것으로 보인다. 그에 따른 대응책으로 전 세계가 대체 에너지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최소한의 양으로 막대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원자력 발전은 가히 전세계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정도로 그 기대치가 크다. 1g의 석탄을 태웠을 때와 1g의 우라늄을 핵분열 시켰을 때 나오는 에너지는 백만배의 차이가 날 정도이니 원자력 발전의 우수성은 더 이상 말할 것도 없다. 하지만 원자력 발전소는 효율성이 큰 만큼 내재된 위험성 또한 다른 에.. 2013. 4.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