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문성2

자격증의 두 얼굴 어렸을 적, 한자 자격증, 워드 자격증, 컴퓨터 활용 자격증, 한국사 자격증 등 자격증을 따기 위해 학원에 다니면서 열심히 공부했던 기억이 난다. 이것 중 몇 가지 자격증을 취득했는데, 내 인생에 큰 변화를 가져다주지 못했다. 사회복지학 사전에 따르면 자격증이란, ‘사람이나 사물이 일정한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공식적으로 보장하는 것이다. 전문직의 법적 자격증은 그 자격증을 지닌 사람이 특정한 수준의 지식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을 보증하는 것이다. 자격증은 대개 무자격자가 특정한 행위를 못 하도록 제한하지는 않지만(면허(license)는 제한을 가함), ‘자격이 있다’라는 타이틀을 사용하지 못하게 제한한다. 전문가의 자격은 전문협회가 보증한다. 자격증은 보통 등록(registration)보다는 통제가 강.. 2018. 4. 17.
어느 4학년의 독백 버클리에서의 첫 학기 첫날이 아직도 또렷이 기억이 난다. 처음 캠퍼스를 거닐던 그 날, 날씨는 더할 나위 없이 화창했고, 선선히 불어오던 가을바람이 상쾌하던 날이었다. 대학교에 대한 막연한 환상과 부푼 설렘을 가지고 수업을 들었고, 교수의 한 마디도 놓치기 싫어 쉴 새 없이 빳빳한 새 공책에 필기했다. 수업이 끝나고서는 많은 새로운 친구들을 만났다. 함께 기숙사 라운지에서 어떤 수업들을 들어야 하는지, 어떤 교수가 점수를 더 잘 주는지 시간이 가는지도 모르고 수다를 떨었다. 밤이 되면 친구들과 여기저기서 열리는 이벤트에 가서 선배들을 만나고 자기소개를 하고, 그렇게 지쳐 돌아와 시끌벅적한 하루를 마치곤 했다. 모든 사람에게 좋은 인상을 남기고 싶은 마음이었을까. 쏟아지는 인간관계의 홍수 속에서 허우적대며.. 2016. 1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