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ebook7 Don't Mess with Memes Don't mess with memes.By: Jay Kim, English Column Writer That was the message thousands of people hoped to convey to Facebook founder Mark Zuckerberg in 2016 after the billionaire continually took down many meme pages, a process known as getting "zucced." If a post was deemed inappropriate or provocative, Facebook took measures by postblocking, banning, and deleting the user’s post. As a member .. 2018. 10. 3. 아날로그의 향수: 스마트폰의 발전으로 우리가 잃어버린 것들 이른 아침 스마트폰에서 울리는 익숙한 벨소리에 잠에서 깨어난다. 씻고 가볍게 준비물을 챙기고 학교로 향한다. 학교로 가는 길은 구글 맵에 탑재된 내비게이션이 친절히 안내해준다. 학교에 도착해 캘린더에 저장된 오늘의 일정을 확인한다. 오늘은 다행히도 오후에 공강이 길게 있는 날이다. 오랜만에 친구와 점심을 먹기 위해 친구에게 점심을 먹자고 카톡을 보낸다. 친구도 오늘 점심 괜찮다고 바로 카톡으로 답장을 보내왔다. 오전 수업이 끝나는 시간에 맞춰서 점심을 먹자고 카톡으로 약속 시각을 잡는다. 오전 수업이 시작되고, 수업 중 이해가 안 되는 내용이 있으면 바로 구글을 통해서 내용을 검색해 본다. 드디어 오전 수업이 끝나고, 친구를 만나 학교 근교에 식당으로 점심을 먹으러 간다. 점심 메뉴를 고르기 위해 친구와.. 2017. 4. 4. 인스타그램에서의 #해시태그 그리고 #소통 [1]요즘 한국에서 유행하는 트렌드 현상을 생각하면 나의 머릿속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한 가지의 트렌드가 있다. 그것은 바로 요즘 들어 페이스북만큼이나 큰 인기를 얻고 있는 SNS인 인스타그램에서의 해시태그(hash tag) 사용이다. 사용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올리고 싶은 사진과 함께 사진의 캡션(caption) 또는 설명글에 해시태그를 포함하면 된다. 조금 더 쉽게 인스타그래머들의 해시태그 사용법과 그에 대한 나의 생각을 전달하기 위해 인스타그래머들을 초급, 중급, 그리고 고급 레벨로 나누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다.우선 초보 인스타그래머들은 주로 올리려는 사진과 연관된 해시태그만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내가 먹은 파스타 사진을 올리고 싶다면 '#파스타 #먹스타그램 #맛스타그램 #.. 2016. 2. 25. The online drug Social networking sites such as Facebook, Instagram, and Twitter allow you to interact with almost anyone- from a friend, to a celebrity in Hollywood. Through these innovative websites, we connect to a larger community and communicate with like-minded people with just a few keystrokes and clicks. We become globalized, becoming a part of another person’s world although we are thousands of miles a.. 2015. 11. 12. 이제는 Opinion Age 4부: 현재와 미래 Google 의 전략은 단순했다. 자동차구입과 관련된 검색을 한 유저의 숫자를 파악, 유저의 다른정보와 결합하여 실제 전국 자동차 수요가 얼마인지 작은 오차로 알아낸 것이다. 따라서 Google 의 예측은 정부보다 더 정확할 수 밖에 없었다. 과거 통계로만 어림잡는 숫자가 아닌 실제 데이터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유저 opinion의 interaction 이 얼마나 이시대의 중요한 툴인지 알려주는 예이다. Google이나 Facebook 보다 규모는 작지만 Twitter 는 가장 영향력 있는 Web-based IT 회사중 하나이다. 2006년에 설립돼 현재 전세계적으로 3억명이 넘는 회원수를 보유하고 있다. Facebook 과 같은 Social Network Service 회사이지만, 여타 SNS 와는 차.. 2012. 2. 2. SNS - 21세기의 도약일까, 독약일까? # "죠지 워싱턴 다리에서 뛰어 내립니다. 미안해요. (jumping off GW bridge. sorry)" 2010년 9월 22일, 미국 뉴저지의 위치한 럿거스 대학의 한 학생이 위의 메시지를 페이스북에 남기고 목숨을 끊는 안타까운 사건이 일어났다. 그의 마지막 한마디가 대표 SNS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페이스북을 통해 남겨졌던 것처럼 공교롭게 사건의 시작도 SNS에 퍼진 동영상 때문이었다. 이 비극의 주인공인 타일러 클레멘티 (Tyler Clementi, 18세)는 Rutgers 대학의 신입생이었다. 뛰어난 바이올린 실력을 자랑하는 학생이였고, 동시에 동성애자이기도 하였다. 사건의 시작은 9월 21일. 그의 룸메이트 라비 (Dharun Ravi)와 기숙사 친구 몰리(Molly Wei)가 타일러가.. 2010. 11. 1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