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DITORIAL/국제 :: Worldpost23

사라예보의 총성: (1) 비스마르크와 동맹체계 사라예보의 총성 은 미국 UC Berkeley 대학교에서 역사학부 교수로 계신 David Wetzel 교수님의 강의를 듣고 깊은 감명을 받아 집필 하게되었습니다. 강의를 통해 배우고 느꼈던 부분을 필자의 필체와 방식으로 표현된 연재물임을 이렇게 밝힙니다. 1970년도의 한국은 격동의 시기였다. 1979년 10월 26일, 궁정동에서 울려퍼진 몇발의 총성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15년에 가까운 유신정권의 종말을 알리는 신호탄이었다. 한국사의 한 장을 차지했던 그에 대한 역사의 평가는 양극으로 나뉘지만, 1980대에 들어설 당시 한국이 어느정도의 산업화를 이룬 국가라는 점은 부정의 여지가 없어보인다. 1970년대, 다른 국가에서 역시 많은 사건들이 있었다. 미국과 소련의 냉전전쟁이 한창 진행되고 있을 이 시점에.. 2011. 2. 2.
[연평도발] 세계 언론들의 반응 # 가디언 지 (Guardian, 영국) http://www.guardian.co.uk/world/2010/nov/28/korea-tensions-yellow-sea-war-games “현재 사태는 매우 심각하다” (There seems littledoubt the current situation is gravely serious) 영국신문 가디언은 현재 한반도에서는 1950년도의 한국전쟁 이후의 최고도의 긴장감이 돌고 있다고 전했다. 또한 북한에 강경하게 대처하자는 한국 여론에 대해서도 다뤘다.기사에서 북한을 질타하는 말투가 많이 사용된 것으로 보아, 북한의 행동을 부정적이게 바라보고 있다. # CNN (미국) http://www.cnn.com/2010/WORLD/asiapcf/11/28/koreas... 2010. 11. 29.
한중수교와 대만관계로 바라본 남북한의 미래 출처: 동관한국상공회 (http://dgkorean.com/bbs/zboard.php?id=dasin&no=455) 날짜: 2007-07-14 13:08:27 한중 수교 15주년이 40일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중국측에서 양국 수교 비사가 공개되고 있다. 한.중 수교 회담 당시 실무협상대표단의 일원이었고 초대 주한 중국대사를 지낸 장팅옌(張庭延)은 베이징(北京)에서 발행되는 세계신문보(世界新聞報)에 연재중인 중.한수교시리즈에서 수교협상의 전모를 밝혔다. 장 전대사는 12일 현재 2번까지 나온 시리즈에서 한중수교의 필요성을 먼저 느낀 측은 아시안게임 개최를 간절히 원한 중국이었다고 털어놓았다. 1990년 베이징 아시안 게임 유치를 위해선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이사국이며 아시아 스포츠강국인 한국과의 관계개.. 2010. 11. 2.
미국 양당체제의 역사와 개요 일반적으로 민주주의 체계에서는 여러 개의 당이 있기 마련이다. 여러 개의 당이 각기 다양한 이념과 정책을 가지고 경쟁한다. 하지만 미국에서는 유난히 민주당과 공화당의 양당 체제가 두드러져 있다. 이 두 당에 대하여 심층탐구를 하고자 한다. 오는 11월 2일은 2년마다 있는 미국의 선거일이다.현재 민주당이 행정부, 하원, 상원을 모두 장악한 상황이지만 공화당이 하원이나 상원 둘 중 하나를 가져가는 것이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돌고 있다. 과연 공화당과 민주당의 차이는 무엇일까? 어느 정책이 그리도 다른 것일까? 두 정당의 이념은 어떤 차이가 나는 것일까? 과연 각 정당에 표를 던지는 사람들은 누구일까? 흔히 민주당은 진보정당, 공화당은 보수정당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넓은 의미에서 틀린 분류는 .. 2010. 10. 26.
동해라는 표현은 부적절하다 한국인에게 알려져있는 동해라는 해역은 흔히들 남북한이 위치하고 있는 한반도의 동쪽과 일본 열도의 왼쪽 사이, 그리고 연해주와 약간의 중국 영토에 인접해 있는 바다를 나타내는 이름입니다. 우선은 태평양의 일부 해역으로 분류가 되며, 일본, 러시아, 중국 같은 주변국들을 포함해 전세계의 지도에서는 ‘일본해’라는 표기가 압도적인 명칭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하물며 공통 포기한 곳도 일본해를 우선적으로 포기하고 그 밑에 참고명의 형식으로 (동해) 라고 쓰는 것들이 보통이죠.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동해’라고 표기하며 북한에서는 ‘조선동해’ 라고 표현합니다. 이를 남한과 일본의 관점만을 해석해서 보자면 동해와 일본해라는 전혀 다른 뉘앙스를 가진 명칭이 충돌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다들 잘 아실 법한 문제들이 생겼습니다.. 2010. 10.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