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DITORIAL/정보 :: Information39

혈액형 심리학의 불편한 진실 사진출처: http://ask.nate.com/qna/view.html?n=11720959 세계의 많은 유명한 과학자들과 심리학자들은 혈액형과 성격은 무관하다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혈액형 심리학은 동양 특유의 문화인 것일까? 요즘 세간에 많이 드러나는 주제는 아니지만, 일본과 한국에서는 A, B, O, AB, 네 가지 혈액형 유형으로 자신, 그리고 타인의 성격, 인격과 도덕까지 판단해 버리는 경향이 있다. "에이~ 혈액형 심리학? 재미로 해 보는 거지!" 웃으며 하는 이야기가 무색하게, 어느새 자신도 모르게 무심코 섣불리 남을 판단하게 되 버리는 혈액형 심리학. 과연 이 작은 재미와 호기심이 알게 모르게 개인들의 사고방식에 어떠한 잠재적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서는 생각해 봤을까? "혈액"이란 무엇인가?.. 2013. 3. 14.
미국 대학교는 바야흐로 MacBook 열풍. 비단 내가 컴퓨터공학 전공이라서가 아니라도, 나는 UC버클리(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에서 한 학기를 보내는 동안 심심치 않게 많은 사과(?)들을 도서관, 강의실, 카페 등에서 쉽게 볼수 있었다. 필자가 말하는 사과는 먹는 사과가 아닌 컴퓨터, 아이팟(iPod), 아이패드(iPad), 아이폰(iPhone)으로 유명한 애플(Apple Inc.) 회사이다. 애플의 인기는 길거리에서 자주 보이는 아이폰, 아이팟들로 어느 정도 실감하고 있었지만, 컴퓨터 강의 첫 날에 보았던 모든 학생들이 맥북(MacBook)을 들고있는 모습이 마치 사과 과수원 같다는 인상은 내 머리속에 깊이 박혀버렸다. 수업 중간 중간에 맥북을 쓰는 사람들의 인원수를 헤아려 보니 60~70% 는 맥북을 쓰.. 2013. 1. 11.
두 개의 버클리, 그리고 불편한 진실. 두개의 버클리…UC버클리? 버클리 음대? 최근에 ‘강남스타일’이 뜨면서 싸이의 인기도 덩달아 오르고 있다. 싸이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면서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싸이를 모르는 이가 없을정도다. 이와 더불어 싸이의 과거사, 프로필 그리고 소문들까지도 사람들 사이에 오르락 내리락 하고 있는 중이다. 싸이의 학력은 ‘버클리 음대 (Berklee College of Music)’. 싸이와 더불어 요즈음 한국 오디션 프로그램도 유명세를 타면서, '버클리 음대'라는 말은 사람들에게 정말 유명해졌다. 한국 오디션 프로그램중에서, 적어도 한 둘은 버클리 음대를 나온 해외파이며, 버클리 음대는 사람들에게 명문 대학교로 인식하여 자리잡고 있다. 필자는 이 버클리 음대에 관하여 애기해 보고자 한다. 과연 이 버클리.. 2012. 12. 6.
Healthy Summer Activities in Bay Area 샌프란시스코의 6월은 한국의 여름보다는 조금은 선선한, 일 년중 최고의 날씨를 만끽할 수 있는 달이다. 여름 방학을 맞이한 우리 버클리 학생들은 각자만의 계획이 있을 것이다. 바쁘고 정신없던 한 학기가 지나면, 어느 누구나 그러하듯, 그동안 받은 스트레스로, 우리 모두의 몸과 마음은 지칠대로 지친다. 그래도, 여름방학이라는 3개월의 기간은 결코 짧지 많은 않은, 심신을 회복하기에 충분하고도 값진 시간이다. 많은 이들은 한국에 들어가, 그리웠던 가족들과의 만남에 기대에 부풀어 있을 것이고, 또 어떤 이들은 3개월이라는 시간동안, 인턴 혹은 아르바이트를 통해, 또 다른 배움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에, 잠시 동안의 꿀같은 휴식을 즐기고, Summer session을 들으며, 학업에 전념할 학생들도 꽤.. 2012. 6. 13.
삶의 길 모퉁이에 한번씩 응시해야 할 나눔의 기쁨 비록 사무엘 헌팅턴의 말대로 역사가 끝난 것은 아니지만, 냉전 이후 미국은 슈퍼파워로 군림하며 국제관계에서 단극체계를 형성하였다. 그러나 과연 이 유일무이한 초강대국은 다양한 인종 - 백인, 흑인, 아시안, 히스패닉 - 들이 함께 사는 위대한 미국 "Great America"일까? 나라 이름 그대로 "United" States of America일까? 그들이 신봉하는 이 국가적 위대함 속에서 묻혀지고, 잊혀져가는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바로 미국 원주민들이다 (Native Americans). 이들한테 주어진 또 다른 이름, American Indian은 크리스토퍼 컬럼버스(Christopher Columbus)가 처음 미국 땅을 밟았을 때, 미국이 인도인 줄 알고 붙여준 이름이다. 콜럼버스가 미국 땅을.. 2012. 3. 22.
통일부 해외유학생 인턴십 프로그램 I. 훔쳐보기 7살짜리 후레쉬맨을 좋아했던 어느 어린아이. 영웅이 되고 싶었던 것이 이유가 되어, 한반도에 태어나 이룰 수 있는 가장 큰 업적은 통일이라 결론내리고, 마치 Martin Luther King Jr. 목사님이 "I have a dream"을 외치 듯이 20년 통일 만을 꿈꾸며 살아온 그 아이의 영웅심리가 결국에는 2011년 4월 12일 어느 책 냄새 푸릿푸릿 나는 도서관 구석 인턴 신청서에 이름 석자를 적기에 이르렀다. II. 들여다보기 (4월 11일 통일부 홈페이지에 공고 참조) 통일부 유학생 인턴쉽 프로그램은 해외에서 유학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여름방학 기간을 활용하여 통일업무체험을 위한 취지로 만들어 지게 되었다. 운영일정은 1, 2기로 나누어 운영되었고 각 기수당 4주간의 인턴쉽 과정.. 2011. 9.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