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11

Stop Suicides in South Korea By: Christine Lee I stared in disbelief as I viewed the list of countries by suicide rate for the first time, in order to write this article. The list soon got difficult to look at. I had always known that my home country, South Korea, had a high suicide rate - for a developed country. When I clicked the link that led me to the list, I expected to see nations conventionally viewed as "downtrodde.. 2015. 11. 5.
아이들의 얼굴을 지켜주세요 [1] 와 , 그리고 . 누구나 한 번쯤은 스쳐 지나갔을 법한 한국 예능 TV 프로그램들이다. 요즘 방송계에 셰프(chef) 바람이 불어 "쿡방"이라 불리는 요리 프로그램들이 잔뜩 생기기 전까지만 하더라도 가장 ‘핫’했던 방송 소재는 바로 '육아'였다. 방송인을 떠나 사회적으로 유명한 위치에 있는 가장을 둔 가족들이 모여 아이들과 여행을 떠나는 모습을 방송하는 프로그램부터, 엄마와 아빠 모두가 잘 알려진 가족들이 모여 일상적인 모습들을 서슴없이 공개하는 프로그램까지. 비록 다양한 플랫폼을 자랑하며 차별화를 두고 있다고는 해도 앞서 말했던 세 프로그램이 공통적으로 방송을 통해 그려내고자 하는 궁극적 테마는 같지 않을까 싶다. 그들은 모두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을법한 '부부 사이의 소소한 갈등과 아이들.. 2015. 10. 14.
To serve or not to serve? In Korea, every adult male has a common nightmare. Between the ages of 19 and 37, one must serve in the military for 21 months. During that time, all freedom is lost: one is stuck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military barracks, loses connections to the civilian world, and is incessantly under the eyes of harsh superior officers. In addition to these tribulations, one must go through strenuous tr.. 2015. 10. 8.
코리안 뉴스룸 국민들은 나라의 일원으로서 한국의 경제, 정치, 사회적 이슈에 대해, 그리고 한국에서 일어나는 크고 작은 사건 사고들에 대해 알 권리가 있다. 때문에 기자들은 정확하고 신속한 정보 전달을 통해 국민들의 궁금증을 해소시켜주고 알아야 할 정보를 전해야한다. 그게 그들이 존재하는 이유니까. 하지만 마땅히 책임을 다해야 할 일임에도 불구하고 눈을 감은 보도를 내는 경우를 너무 자주 봤다. 잘못된 정보, 과장된 정보 전달로 인해 기사 하나, 뉴스 한 꼭지만 보고서는 정확한 진위판별이 힘든 것이 한국 언론의 현주소인 것이다. 이런 언론의 부주의(혹은 비양심)로 인한 사회적 손실은 사실 항상 존재해왔다. (너그러운 사람들은 '사실'과 '진실'의 괴리로 인해 완벽한 보도는 있을 수 없다고까지 말한다.) 하지만 피할 수.. 2015. 2. 28.
이제는 Opinion Age 1부: 정보화 시대를 돌아보며 정보화 시대를 넘어... 이제는 "Opinion Age" 1부: 정보화 시대를 돌아보며 정보화 시대… 필자가 자라나면서 참 많이 듣던 말이다. 1991년 처음으로 World Wide Web 이 상업화 되었다. 그렇기에 필자는 인터넷의 발전사를 몸소 느낄 수 있는 축복받은 세대인지도 모른다. 당시 Windows 는 전세계적으로 엄청난 인기를 누리고 있었다. 1980년대 후반, 기존 키보드만으로 화살표 키를 누르며 컴퓨터를 사용하던 시대에, Microsoft 는 획기적이고 편리한 UI (User Interface)를 도입한 Windows 를 출시한다. 이 프로그램은 전문가만 쓸 수 있던 컴퓨터를 전혀 사전 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아무무리 없이 소화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1991년은 Windows 3.0 (1.. 2010. 10.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