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만9

대만 알아보기 :: (2) 단교는 무조건 한국의 잘못인가 대만이 국민 수준을 의심케 할 만큼의 어이없는 추태를 보이면서까지 한국을 비방하는 이유가 순전히 단교 때문이라고 말하는 분들이 인터넷 상엔 많이 계십니다만, 그 것은 절대 정확한 사유가 되지는 못합니다. 최근 광저우 아시안게임에서 대만 선수 실격의 편파 판정 시비로 인해 대만에서 또다시 반한 여론이 조성되고 있다고 합니다만, 이를 한국의 단교 선언과 연결 시키는 것은 말도 안되는 것이죠. 비슷한 케이스로 과거사 문제가 걸려있는 일본과의 관계에서 아사다 마오 선수가 김연아 선수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면 심판진을 욕할지언정 일본을 욕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합니다. 대만과의 단교 전, 한국과 대만은 현재의 한미관계 이상으로 우방, 아니 혈맹으로까지 불리는 관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는 한국의 자발적인 표현이 .. 2010. 11. 30.
대만 알아보기 :: (1) 한국과 대만 단교의 원인, '하나의 중국' 남한과 대만의 단교는 '하나의 중국' 이라고 불리는 정책에 기인합니다. '하나의 중국' 정책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중국과 그 부속도서는 모두 단일 국가이며 그 국가는 중국 공산당에 의해 통치된다는 개념입니다. 이 정책의 목적을 간단히 설명하자면 홍콩, 싱가폴, 대만, 마카오, 티벳 등 중화권 국가들과 그 인접국가들, 그리고 화교 인구가 상당한 세력을 차지하고 있는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북한 등의 나라들에 영향력을 가지거나, 또 이런 나라들을 흡수하기 위한 중국의 외교 정책입니다. 넓게 보면 중국의 동북공정이나 최근의 휴대폰용 한글 자판 시스템 표준 제정도 같은 의미로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따라서 '하나의 중국' 정책은 국가나 영토같은 물리적인 일체화 뿐 아니라, 문화 같은 무형적인 것들도 모두 포함할.. 2010. 11. 20.
한중수교와 대만관계로 바라본 남북한의 미래 출처: 동관한국상공회 (http://dgkorean.com/bbs/zboard.php?id=dasin&no=455) 날짜: 2007-07-14 13:08:27 한중 수교 15주년이 40일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중국측에서 양국 수교 비사가 공개되고 있다. 한.중 수교 회담 당시 실무협상대표단의 일원이었고 초대 주한 중국대사를 지낸 장팅옌(張庭延)은 베이징(北京)에서 발행되는 세계신문보(世界新聞報)에 연재중인 중.한수교시리즈에서 수교협상의 전모를 밝혔다. 장 전대사는 12일 현재 2번까지 나온 시리즈에서 한중수교의 필요성을 먼저 느낀 측은 아시안게임 개최를 간절히 원한 중국이었다고 털어놓았다. 1990년 베이징 아시안 게임 유치를 위해선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이사국이며 아시아 스포츠강국인 한국과의 관계개.. 2010. 1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