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60

미리, 메리 크리스마스 음악 재생 후 읽어 주세요 언제쯤 겨울이 올까? 또다시 한 해를 보낼 생각에 연초만 해도 까마득하게 느껴지던 게 엊그제 같은데, 어느새 2015년 올해도 12월 마지막 한 달 만을 남겨둔 채 바쁘게 흘러가고 있다. 사실 12월은 – 많은 사람들에게도 그러하겠지만 – 필자가 1년 중 가장 좋아하고 또 기대하는 달이기도 하다. 첫 번째 이유는 12월에 필자의 생일이 속해 있기 때문에. 그리고 조금 더 중요한 두 번째 이유는 바로 크리스마스가 있기 때문이다. 12월 초부터 길거리에 나서기만 해도 부드럽게 흘러 나오는 달콤하고 정겨운 캐롤 소리와, 보기만 해도 마음이 절로 따스해지는 알록달록 빛나는 불빛들, 그리고 눈을 즐겁게하는 화려하고 귀여운 형형색색의 장식들까지. 아름다운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떠올리며 입가.. 2015. 12. 4.
신입생과 편입생, 그 끝나지 않은 갈등 *얼마 전, “UCBerkeley 대신 전해드립니다(벜대전)”라는 페이스북 페이지에 편입생을 겨냥한 글이 올라왔다. 안타깝게도 원본이 삭제되어 첨부할 수는 없으니 아쉬운 대로 해당 글의 반박글을 첨부한다. 이 글을 토대로 논쟁의 포인트를 몇 가지로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편의상 UC Berkeley는 “버클리”라고 지칭한다.1. 버클리가 공립학교이기 때문에 매년 일정 수의 편입생을 뽑아야 하고, 이 때문에 수준 미달인 학생들이 편입하고 있다.2. 세계 랭킹 1위 안에 드는 명문 대학교에 기본적인 영어 회화도 되지 않는 학생들이 있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3. 이러한 현상 때문에 한국에서도 버클리의 가치가 떨어져 면접관들 사이에서 웃음거리가 되고 있다. 이러한 내용을 담은 글은 버클리에서 언제나 끊이지.. 2015. 11. 9.
한국 VS 미국 새내기 탐구생활 초등학교부터 중학교 그리고 고등학교까지, 필자는 미국에서 태어났음에도 불구하고 해외여행이나 연수를 갔던 것을 제외하고는 오로지 한국에서만 공부하고 생활해 온 일명 ‘토종 한국인’이다. 그러한 나에게 유학생 친구라고 하면, 버클리에 와서 만나게 된 사람들과 나처럼 고등학교 졸업 후 외국으로 유학을 간 몇몇 친구들이 전부. 필자의 친구 목록 중 아마 70% 이상은 대부분 한국에서 대학교를 다니고 있는 사람들일 것이다. 자주 연락하는 친구들도 한국 대학생, 주로 페이스북에서 보이는 게시물도 전부 한국 대학가 맛집 소개 글. 그리고 심지어 한국 대학교들의 대나무숲 페이지까지 열심히 팔로우하고 있는 본인으로서는 자연스럽게 한국 대학 문화에 대한 익숙함, 그리고 그보다 더 큰 호기심이 생길 수밖에 없다. 그리고 그.. 2015. 10. 27.
Donald Trump and American Values The United States presidential election of 2016 is quickly approaching, and candidates are doing all they can to make their voices heard. Historically, candidates have presented clear messages of their visions for the nation during this crucial campaign period. What kind of inspirations have Donald Trump drawn from American citizens? Some of the most popular candidates in the past such as Ronald.. 2015. 10. 1.
차가운 크림반도에 불어닥친 뜨거운 분쟁의 기운 평화롭게만 보이던 지구촌이 근래에 들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영토분쟁으로 흔들리고 있다. 요즘 세계 뉴스를 보면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 또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이라는 내용들이 대서특필되어 쓰인 곳을 금방 찾을 수 있다. 사실상 유럽 이슈에 대한 우리들의 관심도가 한국 또는 미국의 이슈보다는 낮지만, 자칫 잘못 하면 미국까지 참여하게 될 큰 전쟁이 될지도 모를 이번 분쟁은 관심을 가지고 지켜볼 만한 가치가 있다. 먼저 이번 사건의 발단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과거 관계와 이 사건의 중심에 서 있는 크림 반도에 대해 알아보자.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역사적 관계 이번 사태에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곳인 크림반도는 따뜻한 기후와 물 떄문에 예전부터 많은 나라들이 탐을 냈던 항구지역이다. 조금만 역.. 2014. 3. 20.
관용에 대한 기념비 – A Monument to Tolerance 작성일: 2010년 8월 31일최근 미국 정치 이슈들 중 가장 화제를 많이 일으킨 것은 흔히 ‘그라운드 제로 모스크’ 라고 불리우는 파크51 프로젝트이다. 이 프로젝트에 관한 논쟁은 단순한 뉴욕 지역의 관심사로 시작하여 국가 정체성에 관한 전국적 논쟁으로 자라났다. 이 문제는 지난 여름간 미디어 헤드라인을 장식했으며, 전국구 정치인들이 여전히 이에 관해 논쟁중인 상태이다.‘코르도바 하우스’라는 명칭으로 불리우던 파크51은 맨하탄 남쪽 세계무역센터 테러 현장에서 두 블록 가량 거리에 건설이 예정된 이슬람계 시민회관이다. 현재 부지에는 9/11 테러 공격 당시에 폐허가 된 건물이 서 있다. 이 건물을 한 부동산 개발업자가 구입하여 이슬람 이맘(지도자) 파이잘 압둘 라웁과 협동 하에 이슬람 문화 센터를 건립할.. 2012. 7.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