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클리87

SF 한국 이정관 총영사 초청 강연회 (Eshleman Library) :: KUNA, KGSA, BerkOP, CKS, and KASA 제2회 한국인사 초청 강연회를 알려드립니다. 이번에 초청인사는 San Francisco 이정관 총영사님입니다. Title : 한국의 외교정책 - 기회와 딜레마 시각 : 4월 8일 금요일 4시 30분 장소 : Eshleman Hall 7층 Eshleman Library 이 event는 KGSA,KUNA(한인학부학생회), KASA(재미교포학생회), CKS(한국학연구회), BerkeleyOpinion (버클리오피니언) 과 함께 합니다. 이 강연회를 끝으로 뒷풀이가 예정되어있습니다. 감사합니다. About the Speaker: Mr. Jeong-Gwan Lee has served as Consul General of the Korean Consulate in San Francisco since early 20.. 2011. 4. 4.
Future Worker - Future Walker :: 강성모 UC Merced 총장 강연회 2월 18일. 버클리오피니언의 멤버들은 강성모 총장의 강연회에 참석했다. 이 강연회는 현재 학교 내의 한인 대학원 학생회인 KGSA의 주도로 시작된 "유명인사 초빙" 프로젝트의 일환으로서, 그 처음은 UC 버클리 대학원 동문이자 현재는 UC Merced에 총장으로 재직 중인 강성모 총장과 함께 시작했다. 행사의 주관을 맡아준 KGSA, KUNA, 그리고 KASA에게 감사를 드리며, 이날 강성모 총장이 제시한 “미래는 다음 세대의 일꾼들에게 무엇을 요구하는가?” 라는 질문에 버클리오피니언 멤버들이 제대로 된 답을 얻을 수 있었을까? 질문을 되돌려 생각해보자. 버클리 한인 학생들에게 있어서는 롤 모델이라고 불려도 손색이 없는 입장에 서있는 그는, 현재의 우리들이 인생의 커리어를 설계하는데에 도움과 영감을 받.. 2011. 3. 28.
이홍훈 대법관 강연 :: Cal 버클리에 이홍훈 대법관이 방문을 하여 강의를 합니다. 주제 : "역동적 현대한국사회와 대법원의 역할" 장소 : Boalt Hall, Room 107 시각 : 3월 29일 화요일 2시 한국 대법원의 상황과 우리사회의 여러 법적, 제도적 쟁점 등에 대하여 직접 들을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이홍훈 대법관은 법원에서 후배 법관들의 투터운 신망을 받고 있고 열린 사고로 명성이 높으십니다. 한국어로 진행하고 영어로 통역을 하여 강의가 진행됩니다. 이홍훈 대법관은 버클리 LL.M.이기도 하며, 5월 경에 퇴임을 앞두고 있습니다. 이홍훈 대법관 프로필 경기고등학교 졸업. 1969년 서울대학교 법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사법대학원 법학 석사 1972년 사법고시 14회. 1977년 11월 법관 임용. 서울지법 남부지원... 2011. 3. 25.
주목할 만한 세 영화 - San Francisco International Asian American Film Festival. 29 번째 San Francisco International Asian American Film Festival (SFIAAF)이 3월 10일부터 20일까지 San Francisco의 Japan Town을 중심으로 10일간 개최된다. 이 SFIAAF는 아시아 문화교류의 장으로 든든히 자리매김한 미국 내에서 빼놓을 수 없는 역사적인 국제 영화제이다. 이 필름 페스티벌은 San Francisco, Berkeley, San Jose의 13개 영화관에서 약 120 개의 작품들을 상영하며, 이벤트, 워크샾, 포럼 등을 통해 아시안 아메리칸의 문화와 다채로운 아시아 각국의 영화를 공유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제공한다. BerkOp이 주목 해볼만한 영화 1. Slaying the Dragon: Reloaded (30.. 2011. 3. 11.
한국어 과외 봉사하실 분을 찾습니다! :: KUNA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면 min-young525@gmail.com으로 이메일 보내 주세요. 2011. 2. 21.
이집트 사태에 대한 이집트 유학생들의 학생 시위 - 한인 유학생들도 할 수 있을까? 지난 11일, 이집트 대통령 무바라크가 끝내 사임하였고, 30년 독재정권이 막을 내렸다. 튀니지에 이어 이집트까지 국민에 의해 정권이 교체되었다. 하지만 여기까지 오기가 순탄하지만은 않았다. 반정부시위가 일어나자 이집트 정부는 무력으로 대처하였고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시위대뿐만 아니라 외국 기자들도 물리적인 피해를 입었고 이집트는 전 세계적으로 비난을 받았다. 자연히 해외의 주목을 한몸에 받게 되었다. 숲틱의 이집트사태 초간단 설명 ** 이집트는 무슬림교 아랍인들이 주 인구를 이루고 있는 아프리카 국가이다. 북아프리카에 위치하고 있고 중동과 바로 붙어있어 중동국가로도 가끔 인식되곤 한다. 1981년부터 호스니 무바라크가 이집트를 집권하기시작한 이후로 계속 이집트를 독재정치 하였다. 독재정권에 시달리던 이.. 2011. 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