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IAL/과학 :: Science & Tech34 Blood Types: How Real Are They? Blood Types: How Real Are They? | English Columnist Erin Ji In Lee “You’re blood type O? No way. I was sure you were type A!” I hear this quite often from people I meet for the first time. However as everyone I meet get to know me better, they begin to change their minds and say, “Nevermind, I see why you’re type O. I can’t believe I didn’t see this side of you the first time we met!” What does .. 2018. 3. 23. 버클륨과 시보그 [cover] [1] 원소 주기율표상 97번째 원소인 버클륨(Bk) UC 버클리 학생들에게 입학 전이나, 혹은 입학 후에 접하게 되는 학교에 관련된 것 중 가장 유명한 것은 무엇이 있을까. 그중의 하나는 분명, 학교 이름을 딴 원소 기호인 버클륨(Berkelium)일 것이다. 또한, 버클륨의 합성 및 발견을 주도한 과학자, 글렌 시보그(Glenn. T. Seaborg)의 이름 역시 과학에 관심이 있다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원소 이름 외에는 그다지 친숙하지 않아서 잘 알려지지 않은 원소인 버클륨과 학교를 대표하는 과학자 중 한 명인 시보그에 대하여 한번 다뤄보려 한다. [2] 원소 주기율표 화학을 공부하는 이들에게는 마치 사전과 같은 원소 주기율표. 중, 고등학교 학창시절을 거치면서 이를 접해보지.. 2017. 11. 21. 원전, 대한민국의 맞춤 전략을 버릴 수 없다 [cover] 네덜란드를 풍차의 나라라고 한다. 낭만적인 플랑드르의 풍경은 지리적 한계와 자원을 지혜롭게 활용한 결과다. ‘낮은 땅’이라는 이름처럼 네덜란드의 땅은 높이가 해수면보다 낮다. 따라서 육지로 들어온 바닷물을 빼낼 펌프가 필요했고, 그 동력으로 강한 바닷바람을 이용한 것이다. 이처럼 과학기술은 그 지역의 환경적 특성을 반영해 발전한다. 우리나라의 원전 역시 마찬가지다. 석유 한 방울 나지 않는 자원 희소국이 믿을 구석은 인력(人力)밖에 없었다. 이승만 대통령이 일찍이 원자력 기술을 배워오도록 지시한 것은, 자원이 없어도 과학 기술을 이용해 큰 에너지를 산출해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워커 리 시슬러는 “우라늄 1g으로 석탄 3t의 에너지를 낼 수 있다. 석탄은 땅에서 캐는 에너지이지만 원자력은 .. 2017. 11. 9. 3D Printed Values 3D Printed Values By Erin Lee | English Columnist It is close to seven in the evening. Like many other nights, I pack my backpack and make my way back to school, tightening the strings on my hoodie as I walk against the piercing Jeju wind. I recognize the familiar desks, computers, and 3D printers as I walk into one of my favorite places at school. In the corner of the design technology lab, I o.. 2017. 11. 8. Einstein’s Theory of Gravitational Waves Proven Einstein’s Theory of Gravitational Waves Proven By: Michelle Lee | English Columnist On October 16th, the LIGO Lab located in the U.S. detected evidence that proved Einstein’s Theory of Gravitational Waves to be correct again. LIGO, Laser Interferometer Gravitational-Wave Observatory, is a facility that detects gravitational waves using the ripples it cause on the extremely sensitive lasers that.. 2017. 11. 3. 대낮이 암흑이 되어버리는 마법 [1] 개기일식 지난달 21일 미국에서는 흔치 않은 천문학 관측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미국 전역을 관통하는 개기일식 현상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개기일식이 발생한 것은 1918년 6월 8일에 워싱턴 주에서 플로리다 주까지 나타난 개기일식 이후 무려 99년 만의 일이다. 가장 최근에는 1979년에 부분적으로 미국 태평양 연안 북서부에서 개기일식이 관측된 적이 있다. [2] 지난 8월 21일 발생한 개기일식의 경로 이러한 천문학 관측은, 근 100년 만의 미국 내에서 관측이 가능한 현상이었기에 NASA에서도 Solarfest 등의 행사를 기획해왔다. 그래서 이번 개기일식은 이전부터 상당히 알려져 있었고 더욱 많은 주목과 관심을 받았다. 이 개기일식은 미국 본토의 북서부 오리건주부터 남동부의 사우스.. 2017. 9. 26.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