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DITORIAL/과학 :: Science & Tech34

세상에서 가장 검은색 ☞ 검은색으로 대표되는 어둠. [1] 우리가 일상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검은색. 보통 우리가 느끼기에 짙고 어두우며 시커멓다고 느끼는 색이다. 하지만 이 검은색도 그 짙음과 어두운 정도에 따라 다르다. 앞이 너무 어두워 눈앞의 것조차 분간하기 힘든 밤을, 우리는 보통 ‘칠흑같이 어두운 밤이라고 표현한다. 그런 칠흑(漆黑)과 같은 짙은 검은색도 있고, 차도의 아스팔트같이 그것보다는 다소 밝은 검은색도 있다. ☞ 보통 블랙홀의 색깔은 위와 같이 묘사된다. 가운데 검은 부분은 마치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 것 같다. [2] 그렇다면 존재하는 가장 짙은 검은색은 무엇일까. 빛조차 모조리 흡수하는 블랙홀의 내부 색깔이 이론적으로 가장 짙은 검은색일 것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우리는 블랙홀의 내부 색을 직접 볼 .. 2017. 4. 18.
혁신적인 미래의 식품, 친환경육 ☞ Mark Post 교수의 친환경 배양육[1] 가축을 도축하지 않고 과학 기술로 만들어진 육류. 공상과학 소설이나 영화에서나 나올 법한 이야기 같다. 최근까지도 우리에게는 생소한 이야기였을 것이다. 하지만 이제 과학 기술로 만든, 살생에서 자유로운 친환경 육류의 등장은 그다지 먼 미래가 아니다. 미래의 식량 자원으로 주목 받을 이 식품은 머지않아 우리의 식탁에 오르게 될 것이다. 이제껏 육류는 몇만 년 전부터 인류의 식단에 포함됐다. 사냥에서부터 시작하여 목축하면서 고기는 늘 우리의 식생활과 함께 해왔다. 축산업은 인류가 정착 생활을 시작한 이래로 발전해왔고, 현대에 이르러서는 고도로 산업화하여 육류의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이런 축산업과 육류 생산은 사실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미국.. 2017. 2. 28.
Science and Its Social Relations as Inseparable: Fracking Written by Jenny Han Arguments, in order to possess any kind of persuasive power, must be backed by supporting evidence. Science and scientific data, among other things, serve as such evidence behind the various arguments being made about the world, for example in regards to hydraulic fracturing for oil and gas - the safety, risks, benefits, and drawbacks of it. Meanwhile, scientific uncertainti.. 2017. 2. 15.
루이스 - 버클리 화학 선구자의 미스터리한 죽음 [1] Gilman Hall, College of Chemistry at UC Berkeley 지금으로부터 70년 전, 1946년 3월 23일, 저명한 한 과학자가 UC 버클리의 Gilman Hall에 있는 자신의 연구실에서 숨을 거둔 것을 한 대학원생이 발견하였다. 사망한 과학자는 바로 미국 현대 화학의 아버지이자 비운의 과학자라 불리는 길버트 뉴턴 루이스 (Gilbert Newton Lewis, 1875-1946)였다. 평생 연구에 힘쓰던 과학자답게 연구실에서 생을 마친 그였지만, 그의 죽음을 두고 여러 가지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의 사망은 실험 도중 갑작스러운 심장마비가 원인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 실험은 액체 시안화수소 (HCN)에 관한 실험이었는데, 시안화수소 증기가 이동하는 유리관이 깨지면서 .. 2016. 11. 9.
시간 여행: 우리는 미래나 과거로 갈 수 있을까? [1] 누구나 살다보면 한 번쯤 과거나 미래로 가보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 시험 공부나 과제가 밀려서 밤을 새울 때, 우리는 며칠 전으로 돌아가 나태하고 여유롭게 지냈던 그때의 나에게 가서 정신 차리라고 명치를 한 대 세게 때리고 싶다는 상상을 하기도 한다. 또한, 다이어트에 실패하고 지난밤에 피자와 치킨을 마구 먹어댔던 과거의 나를 말리러 가고 싶다는 생각, 미래로 가서 로또 당첨 정보를 보고 오고 싶다는 상상, 혹은 "시간 여행자"의 저자인 로널드 몰렛(Ronald L. Mallett)처럼 아버지의 갑작스러운 죽음을 경험하고 과거로 돌아가 잃었던 가까운 사람을 만나거나 살리고 싶다는 상상 등 다양한 상상들을 한 번쯤은 해보았을 것이다. 이처럼, 미래로 가거나 과거로 되돌아가는 시간 여행만큼 많은 사람.. 2016. 10. 18.
스마트폰 배터리, 뭣이 중헌디? 스마트폰 사용이 일상이 되면서, 배터리 용량도 상당한 구매 기준이 되고, 더불어 보조 배터리 시장의 성장을 따라 배터리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 많은 기대를 모았던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갤럭시 노트7이 불이 붙거나 폭발한 사건들의 원인 역시 탑재하고 있던 리튬 이온 배터리 문제라고 밝혀져 관심이 더 높아졌습니다. 시장조사기관 Atlas Research에 따르면, 갤럭시 노트7은 8월 넷째 주에만 22만 대를 판매하면서 인기를 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화재와 폭발사고가 잇따르면서 결국 리콜을 하게 되었습니다. 미국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에 따르면, 15일까지 미국 내 신고된 갤럭시 노트7 과열 및 발화 관련 피해가 92건. 이 중 화상 피해는 26건, 자동차 화재 등 재산 피해 .. 2016. 9.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