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IAL557 사라예보의 총성: (2) Germany's blunder 19세기 말, 유럽은 이미 세기를 뒤흔들 전쟁의 서막을 준비하고 있었다. 그 중심에는 독일제국이라는 위협적인 존재가 자리하고 있었다. 수백년 동안 유럽에서 패권을 차지하기 위해 엎치락 뒤치락 해왔던 합스부르크 왕가, 러시아, 프랑스 같은 국가 사이에서 독일제국은 1870년에 처음 세워진 신생국가에 불과했다. 그렇지만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중반까지 휘몰아친 엄청난 개혁과 혁명의 바람이 유럽에 굳게 자리잡고 있었던 군주정체을 뿌리째 흔들어 버렸고, 그것이 곧 프로이센 (훗날의 독일제국) 으로 하여금 엄청난 산업적인 발전을 이룰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 셈인것이다. 독일제국은 분명 다정한 이웃은 아니었다. 1864년에 덴마크와의 전쟁을 시작으로, 당시 동맹국이었던 오스트리아와 1866년 전쟁에서 승리함으로써,.. 2011. 3. 5. Korean and American Culture: Differences I've Seen As a Korean American Learning. That's what we come to college for. We pay an exorbitant fee in exchange for the distribution of ideas, theories, ways of thinking, for knowledge. But there is another sort of learning going on, another sort of knowledge acquired that has nothing to do with the tuition we pay or which college we go to. It is the knowledge of people, and how to interact with them. It is a kind of learni.. 2011. 3. 4. 한국에서 '표준'이란? 이번 글은 한국에서의 표준에 대해서 써보려고 한다. 필자는 한국에서 휴대폰 혹은 핸드폰을 써온 지 햇수로는 8년이 다되어간다. 외국에서 3년 쓴 경험까지 합치면 상당히 오랜 기간을 핸드폰을 사용했다. 사용하는 동안 핸드폰의 주요 트랜드의 변화를 느끼기에는 너무 어렸지만, 주요한 변화는 알아챘다. 예를 들면, 일체형 폰에서 폴더 폰으로의 변화, 화음폰의 등장, 컬러액정을 가진 폰, MP3기능을 가진 핸드폰, 슬림폰, 그리고 스마트폰까지 약 10년간 한국 내에서 핸드폰은 엄청난 변화를 겪었다. 먼저, 본문에 들어가기 전에 약간의 전문적으로 보이는 용어들이 등장하겠지만, 바닥글에 그런 용에 대한 설명을 달아놓겠습니다. 필자가 “국내”의 핸드폰 시장의 변화 중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변화들 중 1가지가 바로 휴대.. 2011. 2. 25. “전 모기가 아니에요” 여름이 되면 많은 곤충들이 알에서 애벌래로, 애벌래에서 성충으로 탈바꿈해 거리를 돌아다닙니다. 정말 집에 있는 모든 창문과 문을 다 닫아놓아도 어떻게 들어왔는지 꼭 한 두마리씩은 보입니다. 한국에서는 여름 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곤충이 모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겁니다. 실수로 창문을 열어놓거나 이불을 덥지 않고 무방비로 잠을 자는 순간, 다음날 온몸에 모기가 잔치를 벌이고 간 자국이 여기저기 있는 것을 발견할 것입니다. 하지만 여기에 모기때문에 피해를 보고 있는 곤충이 있다는 걸 아십니까? 바로 각다귀입니다. 모기 보다 한 3배는 크고 다리도 매우 길어서 혐오감을 사는 곤충이지요. 대부분 사람들은 각다귀를 보자마자 “모기다!!!” 그러면서 바로 죽여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사실 각다귀는 사람에.. 2011. 2. 24. 脫北, 행복과 불안감이 찍은 낙인 행복이란 무엇일까? 한국의 주입식 교육에 허덕거리며 살았던 필자는 행복이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생각해본 적이 없다. 생각해 볼 필요성 조차 느끼지 못했다. 2006년 여름, 새터민 들이 모인 한 새터민 대안학교에서 조교로 일하기 전까지는… 행복이란 무엇일까? 그 학교 교장 선생님께서 진행하시는 수업의 첫 번 째 숙제였다. 새터민들 삶이궁금해 들어간 이 학교에서는 국영수만큼이나 이 철학 수업 또한 상당히 중요했고 학생들도 그 시간에는 즐겁게 수업에 임하곤 했다. 필자는 조교로 일하며 철학수업의 숙제를 채점 하였다. 다시 한번 물었다. ‘행복이란 무엇일까?’ 나는 새터민 친구들이 쓴 숙제를 보고 놀랐다. 모여서 좋아하는 연예인 이야기하고 컴퓨터 게임 가지고 싸우는 이 친구들을 보면서 그저 북한에서 넘어왔지만 .. 2011. 2. 22. 뭐든지 빨라야 하는 사회, 나이도 빨라야 한다! 나이가 중요한 한국 사회 한국 사람들이 가장 많이 하는 말 중 하나인 ‘빨리 빨리’. 인터넷도 빨라야 하고, 밥도 빨리 먹어야 하고, 심지어 나이도 빨라야 유리하다. 유교 사상이 가장 많이 영향을 끼친 나라 중국, 한국, 일본 중에 한국과 일본에 ‘존댓말’ 이란 것이 있다. 존댓말은 거의 다른 ‘언어’ 라고 까지도 말 할 수 있다. 반면 반말이라는 것은 은근히 기분 나쁠 때도 있다. 예를 들어 군대에 늦게 간 경우 나보다 몇 살 이나 어린 놈이 반말하면 (먼저 들어와서 당연하지만) 기분이 좋을 수는 없다. 물론 존댓말/반말은 하나의 예시일 뿐 나이가 하나의 권력으로 남용 될 때도 많은 게 사실이다. 나이 많은 사람과 나이가 어린 사람이 말다툼을 하게 된다면 나이 어린 사람이 아무리 논리적이어도 나이 많은.. 2011. 2. 22. 이전 1 ··· 84 85 86 87 88 89 90 ··· 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