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애20 낯선 이별과 친해지기 인생의 첫 공동체 생활을 하기에 앞서 부모님으로 부터 못이 박히게 들어온 말이 있다. “친구들과 사이 좋게 지내라.” 우리는 집이나 학교에서 친구들과 어떻게하면 더 좋은 관계를 맺을 수 있는지,사이가 틀어졌을 때 어떻게 회복하는지 배우며 자라왔지 그 누구 하나 이별이란 무엇인지, 어떻게 하는 것인지 가르쳐 주지 않았다. 나는 초등학교 시절 가장 가깝게 지내던 단짝 친구와자주 다투곤 했는데, 그러면 한 반 친구들과 편을 갈랐고, 내 편 니 편 열심히 싸우다가 다시 화해를 하고혹은 상황이 더욱 심각해지면 “우리 이제 절교 하자” 라며 소리를 뻥뻥쳤다. 그러고 집에 와서는 엄마 품에 안겨 닭똥같은 눈물을 뚝뚝 흘리며 정말 그 친구가 나와 절교를 하겠다고나서면 어떡하지 걱정을 하곤 했다. 어린 초등학생에게도 이.. 2011. 10. 16. 연애가 학업에 미치는 영향 글을 연재하기 앞서 이 사례들이 100% 허구도 아니며 그렇다고 100% 진실도 아니라는 것을 미리 밝힙니다. 사례 1 A양은 데이트 하느라 학교를 가지 않는다. 남자친구? 쿨하게 함께 가지 않는다. 사례 2 B양이 새로 사귄 남자친구는 같은 전공의 한 학년 위의 선배다. 시험 기간이 다가오면 B양의 남자친구는 자기 할 일을 다 제쳐두고 B양 보충공부 시키는데 매진한다. 달래가며 훈계도 해가며 개인 과외를 해준다. 그래서 B양이 시험들을 에이스 했느냐? 공부는 내가 하는 거지 남이 해준다고 해서 되는 게 아니라는 것. 사례 3 C군은 막 사귀기 시작한 여자친구와 주로 도서관에서 데이트를 한다. 학교 메인 도서관에 둘이 나란히 앉아 공부를 하는데 공부가 될 리가 있나. 자꾸만 여자친구한테 장난을 쳐보기도 .. 2011. 2. 26.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