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DITORIAL/문예 :: Literature121

나는 달린다, 오늘도 요즘 달리기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는 나는, 실제로도 달리고 있다. 물론 달리고 있는 내 모습을 들여다봤을 땐 그것은 절대 온전한 내 스스로의 의지가 아니다. 반 강제 반 자의다.오전 05시 50분이 되면 핸드폰 알람 소리에 깨어나 겨우 눈을 비비고 몸을 일으킨다. 너무나도 고통스럽다. 그리고 다시 드러눕는다. 다음, 06시 00분 알람이 울린다. 미치겠다. 눈은 감겨있고 몸은 자고 있지만 머리는 생각한다. 갈까 말까. 더 잘까 말까. 다음 생각이 일기 전 결국 벌떡 일어난다. 화장실로 들어가 거울에 비친 헝클어진 머리를 보며 샤워부스에 따뜻한 물을 틀어놓고 데운다. 김이 모락모락 나면 손으로 물을 만져보고 적정 온도가 됐다 싶으면 허리를 숙이고 머리를 무작정 들이밀고 감는다. 그리고 말린다. 06시 1.. 2018. 9. 27.
추락사의 두려움 [커버포토] 아무 이유 없이 기분 좋은 날들이 있다. 하늘이 유독 밝아 보이고 집은 아늑하며, 친구들과 가족에게 감사한 그런 날. 반대로 아무 이유 없이 기분이 나쁜 날들이 있다. 밝은 하늘이 얄밉고 따뜻한 집은 답답하며, 친구들과 가족을 마주 하고 싶지 않은 그런 날. 안타깝게도 후자의 경우가 더 빈번하게 발생하는 듯하다. 식상하지만, 달리기를 좋아하는 필자는 인생을 마라톤에 비교하는 것을 참 좋아한다. 가끔 넘어지고, 가끔 힘이 넘치지만, 보통은 평균의 속도로 뛰는 마라톤. 완주에 의미가 있고 각자 최선을 다하는 그런 마라톤. 그 완주에 있어 중요한 것은, 가끔 힘이 솟아나 더 빨리 뛰는 것보다 넘어졌을 때 빨리 일어서서 원상태로 복귀하는 것이다. 그래서 순간의 자신감보다 지속적인 자존감이 살아가는 .. 2018. 4. 18.
누구나의 산문 봄방학 때 놀러 왔던 상진이 형이 오늘 떠나갔다. 상진 형과는 이제 안지 어언 9년이 다 되어가고, 대학교 친구들과는 다르게 기숙사에서 동고동락하며 쌓아 온 추억들이 많다. 그래서인지 같이 있을 때면 더 편하게 느낀다. 둘이서 이야기할 때는 장소가 어디더라도 다시 고등학교에 돌아간 것만 같다. 잠깐 10분의 쉬는 시간에 허겁지겁 나눠 먹던 초콜렛 쿠키와 시나몬 롤이 떠오르며, 촌 자락에 있던 학교주변 축가들의 분뇨 냄새 또한 정겹게 콧자락에 남아 있는 듯 하다. 이 글의 이유를 묻는다면, 그저 본연의 나의 이야기를 담아두기 위함이다. 거창한 것을 원했다면 뒤돌아 가도 좋으며, 잠시 쉬어가는 글을 읽고 싶다면 잠시 멈춰서도 좋다. 봄방학이 시작하는 금요일, 여느 때와 다른 느낌은 없었다. 집에서 컴퓨터를 .. 2018. 4. 10.
Me, myself, and I 1. 나는 ‘괴리감’ 이라는 단어를 좋아한다. 국어사전은 ‘괴리감’의 뜻을 이렇게 정의한다. 서로 어그러져 동떨어진 느낌. 서로 어그러져, 동떨어진 느낌. 단어의 뜻 자체에서도 괴리감이 느껴지는 것만 같다. 그래서 난 괴리감이 완벽한 단어라고 생각한다. 의미와 어감이 통하는, 그런 완벽한 형태의 언어. 처음 이 단어를 알게 된 건 에픽하이 2집의 수록곡 에서였다. 2. 괴리감은 천재성의 그림자/ 가슴이 타 몇 순간마다 술잔에 술이 차 - 에픽하이 중 초등학교 시절, 좋아하던 남자아이와 어떻게든 공통분모를 만들어보기 위해 듣기 시작한 국내힙합, 그리고 그중 제일 많이 들었었던 에픽하이. 아날로그 감성이 짙게 배어있는 전주가 좋아서 즐겨듣게 된 이 곡이 고 유재하와 고 김현식을 기리기 위한 추모곡으로 만들어.. 2018. 4. 3.
스무 살 최정윤 [cover] [1] 1.열아홉의 나는 달을 사랑했다. 쳇바퀴 돌 듯 굴러가는 반복적인 일상의 흐름 속에 지친 채, 불 꺼진 깜깜한 방을 더듬어 찾아간 침대에 몸을 뉘고 나면 밤하늘이 내게 쏟아졌다. 제주의 밤하늘이었다. 어두운 듯 태양의 빛을 살짝 머금고 있는 검은 하늘에 끝없이 펼쳐진 별들의 발자국, 그리고 외로운 달을 바라보는 것은 내 하루의 마지막 일과였다. 달빛이 나를 감싸 쉬이 밤잠을 이루지 못하더라도 그다음 날 하늘에 달이 없으면 묘연한 그 행방을 고민하다 잠이 들곤 하는. 나는 달에 많은 것을 말하고 많은 것을 보였다. 2.참, 돌이켜보면 그랬다. 열아홉의 나는 나의 밤하늘을 살짝 들췄을 때 내 머리 위로 쏟아지는 핑크빛 구름, 따사로운 바람, 무지갯빛 오로라 따위의 아름다움을 사랑했다. .. 2017. 12. 2.
우연의 조각 [cover] ‘우연을 마주하기: 인과로서의 필연을 넘어, 존재로서의 필연으로’ 우리는 살아가면서 수없이 많은 우연을 마주합니다. 때로는 우연히 길거리에서 전 애인을 만나 어색한 인사를 나누기도 하고, 우연한 아이디어로 성공해 일확천금을 얻기도 하며, 반대로 우연히 사고를 당해 다칠 수도 있습니다. 흥미로운 사실은, 많은 경우에 우리가 스스로 마주한 우연한 사건들을 논리적으로 설명하려 한다는 것입니다. 그 우연이 좋은 것이든 나쁜 것이든 말입니다. ‘내가 그 날 그곳에 가지 않았다면 이런 일을 당할 일이 없었을 텐데.’ 라거나 ‘우연처럼 보이지만, 사실 내가 성공할 수 있었던 건 내가 잘났기 때문이야. 라는 생각 등이 그 예시입니다. 어쩌면 이러한 생각은 당연할지도 모릅니다. 사람들은 예상치 못한 불행을.. 2017. 1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