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ERIALS59

검은돈의 유혹 '승부조작' :: (2) 1회 볼넷허용, 각광받던 신예투수들의 돌이킬 수 없는 실수 원래 계획대로였으면 프로축구 승부조작에 대해서 이어 나가고 했으나 우선 프로야구 관련 승부조작에 대해 먼저 이야기 하고싶은 것들이 생겨서 프로야구 승부조작에 대해 먼저 이야기 하겠습니다. 프로야구 승부조작에 이어서 K-리그 승부조작에 대해서 이어집니다. 2011년 프로야구는 출범 30주년만에 600만 관중을 달성하는 큰 위업을 이루었다. 평일에는 퇴근 후 많은 직장인들이 야구장을 찾았고 주말에는 가족과 연인 단위로 많은 사람들이 야구장을 찾았다. 지하철이나 길거리에서도 종종 야구 유니폼을 입은 사람들을 만나볼 수 있을 정도로 작년 대한민국 내 야구 열기는 극에 치달았었다. 야구 시즌이 끝나고 많은 사람들이 스토브리그 또한 관심을 가질 정도로 열기가 식지 않았다. 특히 작년 시즌 LG 트윈스는 시즌 초반 .. 2012. 5. 22.
검은돈의 유혹 '승부조작' :: (1) e-스포츠의 승부조작과 마본좌의 몰락 대한민국의 프로스포츠는 80년대를 기점으로 하여 새마을 운동을 통한 경제성장을 바탕으로 급속하게 발전했다. 프로야구 같은 경우는 2011년 600만 관중 시대를 알리며 흥행의 최고조를 달리고 있고, 프로축구 또한 2002년 월드컵 4강 신화를 기반으로 많은 팀들이 생겨나면서 대한 축구협회는 1부리그와 2부리그로 리그를 나누는 승강제의 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세계적으로 대한민국이 장악하고 있는 e-스포츠 같은 경우는 스타크래프트를 시작으로 다양한 시뮬레이션 게임에서 많은 게임 팬들의 지지를 받고 있으며 종종 세계대회 결승전에서 대한민국 선수들 간의 맞대결을 보면 대한민국이 e-스포츠 최강국이라는 것을 명확히 인식하게 해준다. 그러나 2010년 e-스포츠에서 경기 승부조작이 터지기 시작하면서 대한민국 프.. 2012. 4. 2.
특별한 인생의 쉼표, 유럽에 튼 세 번째 둥지 :: (3) 가서 뭘하면 되죠? - 인터네셔널 학생으로서의 삶 지난 편에서는 유럽여행의 들썩거림에 대해 다뤄봤는데, 이번 편은 교환학생의 하이라이트인 교환학생으로서의 "홈그라운드" 에서의 생활을 묘사해보고자 한다. 저번 편보다 다소 진지한 주제이기도 하지만 이미 버클리에서의 생활이 타지생활인 유학생들에게는 익숙할 수도 있는 내용들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왜 교환학생들이 크나큰 수고와 비용을 들여가면서 모국에서 벗어나려고 아우성을 치는지 생각해보았는가? 경험 상으로 넘겨짚자면 “자기성찰”에 대한 욕망이 가장 컸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먼저 자기성찰이라는 피상적인 말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서울대학교 김난도 교수의 “아프니까 청춘이다” 라는 책에서 우리는 그 힌트를 찾을 수 있다. “성찰이란 ‘생각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그냥 곰곰이 생각하면 .. 2012. 2. 27.
이제는 Opinion Age 4부: 현재와 미래 Google 의 전략은 단순했다. 자동차구입과 관련된 검색을 한 유저의 숫자를 파악, 유저의 다른정보와 결합하여 실제 전국 자동차 수요가 얼마인지 작은 오차로 알아낸 것이다. 따라서 Google 의 예측은 정부보다 더 정확할 수 밖에 없었다. 과거 통계로만 어림잡는 숫자가 아닌 실제 데이터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유저 opinion의 interaction 이 얼마나 이시대의 중요한 툴인지 알려주는 예이다. Google이나 Facebook 보다 규모는 작지만 Twitter 는 가장 영향력 있는 Web-based IT 회사중 하나이다. 2006년에 설립돼 현재 전세계적으로 3억명이 넘는 회원수를 보유하고 있다. Facebook 과 같은 Social Network Service 회사이지만, 여타 SNS 와는 차.. 2012. 2. 2.
대만 알아보기 :: (7) 대만은 어째서 일본을 좋아하는가 위의 사진은 아직 세계 2차대전까지 일본이 제국주의에 미쳐 나라 꼴이 말이 아니던 시절 동북·동남아시아를 포함해 심지어 오스트레일리아 일부 지역까지 점령했던 일본의 "리즈 시절"입니다. 제국주의와 식민지배의 업보는 이제 일본으로서는 평생 지고 가야할 문제였지만, 위 그림은 역설적으로 동아시아의 한 나라가 가장 먼저 서구식 문물을 흡수하고 근대화를 추진하여 다른 주변국들 (예를들면 한국과 중국)을 앞설 수 있었다는 반증을 하기도 합니다. 현재는 점차 나아지는 반응을 보이고 있지만, 한국과 일본의 관계의 기반은 그다지 좋지 않습니다. "로마인 이야기" 의 저자인 시오노 나나미 씨는 아시아 3국 문제에 대해서 "옆나라 하고는 잘 되는 일이 거의 없다. 오히려 잘 되는 것이 이상하다. 옆 나라와 잘 되리라 기대.. 2011. 9. 3.
대만 알아보기 :: (6) 대만의 경제력, 그리고 혐한류 우선, 1인당 GDP나 GNI, PPP등의 수치를 고려했을 때는 확실히 대만이 한국보다는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1인당 GDP가 세계 최고 수준인 룩셈부르크나, 석유로 엄청난 부를 거머쥔 사우디아라비아, UAE, 쿠웨이트 등의 중동 국가들, 물류와 항만을 통한 중계무역으로 먹고사는 홍콩이나 싱가포르같은 도시국가들을 흔히 알려져 있는 일본이나 미국, 독일과 같은 국가들보다 잘 산다고 말하지는 않듯이, 이런 국민소득에 관련된 수치는 그 나라 개개인의 생활의 질을 평균적으로 반영할 뿐, 그 나라의 강대함이나 부유함을 재는 정확한 잣대라고 정의할 수는 없습니다. 좀더 넓게 생각해본다면, 특정 국가의 소득을 측정하는 방법이 현재 여러가지가 나와있고, 이에 따라 어느정도 대략적인 수치는 측정이 가능.. 2011. 9.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