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IAL557 두 개의 버클리, 그리고 불편한 진실. 두개의 버클리…UC버클리? 버클리 음대? 최근에 ‘강남스타일’이 뜨면서 싸이의 인기도 덩달아 오르고 있다. 싸이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면서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싸이를 모르는 이가 없을정도다. 이와 더불어 싸이의 과거사, 프로필 그리고 소문들까지도 사람들 사이에 오르락 내리락 하고 있는 중이다. 싸이의 학력은 ‘버클리 음대 (Berklee College of Music)’. 싸이와 더불어 요즈음 한국 오디션 프로그램도 유명세를 타면서, '버클리 음대'라는 말은 사람들에게 정말 유명해졌다. 한국 오디션 프로그램중에서, 적어도 한 둘은 버클리 음대를 나온 해외파이며, 버클리 음대는 사람들에게 명문 대학교로 인식하여 자리잡고 있다. 필자는 이 버클리 음대에 관하여 애기해 보고자 한다. 과연 이 버클리.. 2012. 12. 6. 스마트폰, 알고 쓰고 계신가요? “아, 짜증 나! 이번 주 런닝맨 아직 못 봤는데 인터넷 기사에 벌써 우승자 떴어!!” “뭐야? 이 둘 드라마에서 맺어져서 실제로 사귀고 있다는데? 너네 알고 있었어?” 불과 한 시간 전에 방영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결말도, 왠지 다른 세상에 사는 것만 같은 연예인 소식도 손바닥 안에 쏙 들어가는 스마트폰 하나만 있으면 누구보다 빠르게 알 수 있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2010년에 업무처리향상을 위해 직장인들을 위주로 빠르게 증가하였던 스마트폰 사용률은 2012년 현재 초등학교 저학년에서부터 60대 노인까지 다양한 연령층에서 빠른 증가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더이상 주위에서 커다란 종이에 인쇄된 신문을 읽는 사람들, 날씨 확인을 위해 텔레비전을 켜는 사람들이 눈에 잘 띄지 않습니다. 종이 지도를 들고 길을 .. 2012. 12. 3. 나눔의 의미 (본 글은 Berkop의 객원 필진 주이도 씨의 글입니다.) BERKOP의 객원필진 제안을 받고 지금 읽고 있는 책에 관련하여 써봐야겠다고 생각했다. 물론 단순히 책 소개를 하려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고 내가 이 주제와 관련된 어떤 단체에 속해 있는 것 또한 아니다. 단지, 어려운 삶을 살고 있는 그들보다 조금은 나은 혜택을 받고 풍요롭게 사는 사람으로써 나눔의 의미를 재조명하고자 이 글을 쓰게 되었다. "지도 밖으로 행군하라"는 한국의 유명한 오지 여행가인 한비야 씨가 긴급구호요원이 되어 경험한 것을 풀어낸 책이다. 전세계 오지를 찾아 다니며 여행하던 중, 800원짜리 링거 한 병을 살 수 없어 설사와 같은 가벼운 병으로 죽어가는 아이를 보고, 지뢰로 한쪽 다리와 한쪽 팔을 잃은 소녀가 잠깐 놀아준 이.. 2012. 11. 29. "지금은 청춘시대" :: 새누리당 정몽준 위원장, 이준석 위원 버클리 강연회 지난 11월 11일, 버클리 캠퍼스 내 Alumni House에서 새누리당 정몽준 중앙선거대책워원장과 이준석 비상대책위원이 참석하여 “지금은 청춘시대”라는 이름으로 강연회를 가졌다. 새누리 북가주 위원회 차세대포럼 초청으로 열린 이번 강연회에서 현재 버클리에서 유학생활을 하고 있는 한인 학생들에게 청춘 메시지를 전했다. 또한 북가주에 거주하고 있는 교민들도 여럿 참석하여 함께 소통할 수 있었던 뜻 깊은 자리였다. # “대한민국의 역사는 기적의 역사” – 정몽준 위원장 정몽준 위원장은 우리 민족이 동북 아시아의 수많은 소수민족 중에서 5000년간 민족성과 문화를 유지한 것은 기적이라 하였다. 또한 1945년 해방을 이루어 냈고, 1950년 6.25 전쟁을 겪었지만 그 속에서 현대화를 이루어 내어 현재 선진.. 2012. 11. 26. '아청법' 개정과 대한민국 성범죄 (본 글은 Berkop의 필진 이정환 군의 글입니다.) 우선 글을 시작하기 앞서 대한민국의 아동 성범죄의 대처를 풍자하는 한 창작 만화를 모두에게 보여주고 싶다. http://bbs2.ruliweb.daum.net/gaia/do/ruliweb/family/216/read?articleId=15546403&objCate1=&bbsId=G005&searchKey=subjectNcontent&itemGroupId=&itemId=63&sortKey=depth&searchValue=%EC%96%91%EC%B9%98%EA%B8%B0&platformId=&pageIndex=1 언제부터인가 대한민국에서 아동, 청소년관련 성범죄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유괴, 성추행, 심지어 성폭행까지. 꼬마아이들을 납치하는 것이 성인.. 2012. 11. 19. 한일 관계에 대처하는 버클리 유학생의 자세 (본 글은 Berkop의 필진 김원순 군이 작성한 글입니다. 본 글은 Berkop의 견해와는 전혀 상관이 없음을 밝힙니다.) 애증 관계. 한국과 일본 간의 관계를 이보다 더 잘 나타낼 표현이 있을까? 최근에는 런던 올림픽 축구 3,4위전 경기에서 한국의 승리 후 박종우 국가대표 선수가 독도 세레머니를 했다가 메달을 박탈당할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아직도 한일 간에는 독도 영토 분쟁, 위안부 등 과거사 청산 문제, 동해, 독도 등의 표기 문제 등 풀리지 않은 갈등들이 얽히고 설켜 있다. 올해 4월에는 동해 표기 문제를 논의해 온 국제수로기구의 총회가 열렸는데 결국 동해 병행 표기는 무산되고 말았다. 이에 따라 동해 병행 표기 문제는 5년 뒤인 2017년에나 다시 논의될 거라고 한다. 많은 사람들은 정부의 .. 2012. 11. 16. 이전 1 ··· 69 70 71 72 73 74 75 ··· 9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