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16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유난히도 말을 많이 한 날엔, ‘오늘 내가 너무 많이 말했나?’ 하며 집으로 돌아가는 발걸음이 괜히 무겁다. 과거의 나는 무슨 생각을 하면서 살았을까 가끔 일기장을 펼친다. 남자와 여자는 왜 서로가 이해할 수 없는 동물일까 가끔 궁금하다. 주변에 고맙다는 말을 자주 못했던 건 아닐까 문득 휴대폰을 들어 안부를 묻는다. 불편한 얘기를 꺼내 놓은 후 친구의 표정이 신경 쓰인다. 그냥 적당히 웃어 넘길 걸 그랬나, 다시 한번 곱씹어 본다. 이 모두 생각하는 ‘나’에 대한 순간들이다.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철학자 데카르트의 대표적인 문구다. 철학에 문외한 사람들도 한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왜 생각하는 것이 왜 존재하는 것인지에 대한 이해를 하려면 더 많은 시간과 .. 2019. 11. 21.
Call to Microfinance in Developed Nations Call to Microfinance in Developed NationsBy: Red Excerpts taken from original paper "A New Paradigm for Microfinance in Developed Nations" IJTEF Vol.9, No.1, February 2018 Microfinancing has garnered much attention from both developing countries and the United Nations in the past decade. 2005 was the United Nation General Assembly’s “Year of Microcredit” and microcredit, also otherwise called mi.. 2019. 11. 20.
빈곤층과 눈높이를 맞추는 경제학 India 2013 by Juan Luis Sánchez 우리는 다양한 매개체를 통해 유니세프나 유엔 난민기구 같은 구호단체의 광고를 많이 접한다. 팔에 앉아있는 파리 세 마리를 보고도 쫓을 기력이 없어 멍하니 쳐다보는 다섯 살 아이. 어린아이를 꼭 끌어안고 절박한 표정으로 구원의 눈길을 보내는 엄마. 보기만 해도 숨이 막힐 듯하게 해가 쨍쨍한 날에 무료 백신 접종을 맞기 위해 하염없이 기다리는 사람들. 우리는 이런 모습들을 접하게 되면 측은한 마음이 생겨 기부를 하거나 봉사활동을 하게 된다. 하지만 우리가 실천한 선행들이 실제로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생각해본 적이 있을까? 하버드에서 박사과정을 갓 마친 한 경제학자가 어느 날 부인과 함께 케냐에 있는 한 NGO (Non-Governm.. 2019. 11. 19.
Harvard Research Reveals: Don't Think Too Much, You Might Die Earlier Harvard Research Reveals: Don't Think Too Much, You Might Die EarlierBy Jiyoung Lee We consider age a factor of intelligence during adolescence, implying that we’re better able to think and process information as our brains mature. It's assumed that older people who have lived longer are likely wiser and better informed of how the world works. However, this doesn’t actually correlate in respect .. 2019. 11. 15.
'사랑의 매', 이젠 안녕 대한민국의 민법 제915조, '친권자는 그 자를 보호 또는 교양하기 위하여 필요한 징계를 할 수 있고 법원의 허가를 얻어 감화 또는 교정기관에 위탁할 수 있다.' 최근 대한민국 정부는 사실상 법적으로 허용되고 있는 부모의 체벌 법에 대한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그간 '사랑의 매'라는 이름으로 부모의 자녀 체벌을 금한다는 이야기, 즉 친권자의 징계권에 범위에서 체벌을 제외한다는 것이다. 사랑의 매, 이 정의를 어떻게 내려야 할까. 어디까지가 적당한 체벌이고, 어디서부터는 폭력인지 단정 짓기가 매우 모호하다. 어느 강도로, 얼마큼, 무엇으로 때려야 하는지 정해져 있지도 않고, 정하기에도 애매한 부분이다. 이는 가정폭력으로 이어지기 매우 쉬운 경계선에 놓여있다. 부모가 아이를 때리는 것을 훈육의 방식이라고 생.. 2019. 11. 13.
Find your cup of tea in LA Find your cup of tea in LABy Nicole Kim With Thanksgiving break coming right around the corner, a lot of you are probably planning your trips to Los Angeles. Many of you are undoubtedly searching through Yelp, trying to look for the hottest cafes for brunch with friends (I know I always do). From a coffee enthusiast and cafe lover who lived in the heart of LA my whole life, these are the cafes I.. 2019. 11. 13.
대한민국은 악플공화국 최근 악플 (악성 댓글) 또는 댓글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악플은 인터넷의 발전에 따른 가장 대표적인 부작용으로 손꼽힌다. 최근 유명 가수 설리의 사망으로 인해 악플 근절에 대한 여론도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사건 이후로 악플러들에 대한 비판과 함께 인터넷 실명제 도입, 악플 금지법 제정 등 여러 가지 방안을 요구하는 사람들의 목소리도 점점 커지고 있다. 무심코 악플러들이 써 내려간 부정적인 댓글은 특히 연예인들을 고통스럽게 한다. 악플러를 고소하는 연예인도 부쩍 늘었고 스스로 유명을 달리한 연예인들은 한 번씩 이 악성 댓글로 인해 정신적인 피해를 받은 적이 있다고 한다. 연예인이 아닌 일반인인 우리는 누가 조금이라도 비난을 하면 상처받기 쉽고 특히 필자는 그 비.. 2019. 11. 12.
Top 7 Places to Eat in Koreatown, Los Angeles top 7 places to eat inKOREATOWN, LOS ANGELES Though I’m not directly from Los Angeles, I’ve been to Koreatown my entire life, normally on the weekends. Whether it was to watch a movie, go eat Korean food, or stop by the supermarket, I’d say I know some of the best places to eat when you’re in K-Town. This list only includes restaurants in K-Town, not chains (Myeongrang, Yupdduk, Sul & Beans). I’.. 2019. 11. 8.
이 시국에? “이 시국에?"라는 단어는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보았을 것이다. 이것의 어원은 2019년 7월 일본 제품에 대한 불매가 시작된 이후 일본을 옹호하는 성격의 글이 올라올 때 “이 시국에~”라는 비판적인 댓글이 달리면서 생겨나기 시작했고, 이제는 젊은 층의 반일감정 혹은 불매운동을 나타내는 단어가 되었다. 먼저 시국(時局)의 뜻을 알아보자면. 시국의 사전적 의미는 현재 당면한 국내 및 국제 정세나 대세라는 뜻이다. 그렇다면 현 시국은 언제부터 어떻게 발단된 것일까? 2019년 7월, 일본 총리 아베 신조가 대한민국을 화이트 리스트(수출 절차 간소화 국가)에서 제외하고 반도체 산업의 필수 소재인 포토레지스트, 애칭 가스, 플루오린 폴리이미드에 대한 수출규제를 내렸다. 아래는 연합뉴스에서 정리한 반도체 산업의 .. 2019. 11. 7.
What are you studying? “What are you studying?” “Hi, what’s your name?” what year are you?”what are you studying?” Default questions literally asked by EVERY. SINGLE. PERSON. on campus But only two questions can be answered immediately. The last question? Yup, that’s the tricky one. I say “business” just to make things easier. With this response, people would nod approvingly, not questioning anything. -or so I thought.. 2019. 11. 6.
정치의 품격 2019년 11월 9일이 되면 전직 법무부장관과 관련된 이슈가 거론된 지 세 달이 되는 날이다. 촛불이라는 의지로 시작한 정부에게 우리가 과거보다 높은 도덕성을 요구하는 것은 맞다. 물론, 고위공직자의 인사 검증은 항상 이상적인 바램과 현실적인 한계에서 타협점을 찾아가는 일이다. 현재의 문제사항은 타협이 이루어지지도 못하고 진행되는 모습도 보이지를 않으니 국민들이 직접 의사 표명을 하는 직접민주주의로 변해가는 사항이다. 입시제도 전체의 변화, 권력층의 특권 사항 검토, 검찰 조직에 대한 개혁 파생적 요소들도 개선해야 하지만, 근원적인 고위공직자의 인사에 대한 타협점을 찾지 못한 채 시작되는 정책들은 당위성이 흔들릴 위험이 크다고 생각한다. 최근의 고위공직자의 이슈는 전 장관과 같이 검증된 학술적 능력과 .. 2019. 11. 5.
Top 10 Shows to Binge Watch on Netflix Top 10 shows to binge watch on Netflix Amid all the midterms, crying, and papers during my last 3 semesters at Cal, I’ve come to realize that I had somehow managed to find the time to finish 10 television shows that are available on Netflix. Looking back, there hasn’t been a single show that I disliked, given I simply cannot finish a television show unless it truly impresses me. Money HeistMoney.. 2019. 11. 2.
The dilemma of unpopular college majors The dilemma of unpopular college majorsBy: Nicole Kim Those in the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encounter the same question numerous times throughout their college career: “What exactly are you going to do with that major?” With the rise of the computer science major and the steady enrollment of those in business or engineering majors, students declaring other majors are constantly questioned .. 2019. 11. 1.
혁신과 규제 사이 “소비자의 입장에서 혁신적인 새로운 서비스가 등장했다면 서로 공정하게 경쟁해야 한다. 따라서 새로운 기술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한 우버는 소비자 입장에서는 필요한 혁신으로 봐야 하고 그래서 합법이다”. 이는 2014년 우버 산업에 반대하는 소송 문제에 미국 연방 대법원이 내린 판결 내용이다. 항상 퍼스트 무버 산업을 만들어오던 미국의 정신이 잘 반영된 미국스러운 결정이었다. 우버(Uber)는 일반인들도 택시 기사가 될 수 있는, 일명 면허 없이 택시를 허용하는 플랫폼이기 때문에 세계 곳곳에서 이것이 불법이냐 합법이냐를 놓고 수많은 논쟁을 벌여왔다. 많은 나라에서 불법 판정을 받았지만, 미국과 같이 우버가 허용되는 국가에서는 모빌리티 사업을 장악하며 사업을 키워나가고 있다. 이에 따라 우버는 올해 .. 2019. 10. 31.
Improvising Life and Randos Improvising Life and RandosInspired from The OfficeIt's your first day on campus and you enter the majestic Doe Library. As you look for a cozy place to sit, you see a tanned, slightly built bearded guy sitting on a bean-bag. He is alone, yet incredibly preoccupied: his territory is marked with bags of Swedish Fish, Marvel comic-books, and Russian literature. He briefly lifts a notebook; you mak.. 2019. 10. 30.
장거리 여행 속의 오아시스, 스탑오버 2019년 가을학기가 벌써 반이 지났고 약 두 달 후면 한 달간의 겨울방학이 시작된다. 겨울 방학 때 무엇을 할지는 사람들에 따라 많이 다르겠지만, 해외에 있는 유학생들은 한국행 비행기 표를 살 것이고, 유학생이 아니더라도 유럽이나 미주 여행을 계획하시는 분들도 장거리 비행을 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비행기 표를 구매할 때 대한항공 아시아나 직항 표를 훨씬 더 선호하는 것이 현실인데, 국적사 직항만큼이나 경유하는 항공권도 매력이 많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이 글을 써보도록 결심했다. 그래서 오늘은 비행기 표에 대해서 거의 관심이 없는 분들을 위해 경유표의 가장 큰 장점인 스탑오버에 대해서 설명해 보도록 하겠다. 1. 스탑오버란? 사실 지금부터 시작하는 얘기들은 많은 사람들이 이미 알고 있는 .. 2019. 10. 29.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3인, 그다음은? 노벨상은 누구나 한 번쯤은 뉴스에서 들었을 법 할 정도로 매년 인류 복지에 큰 공을 세운 사람이나 단체에게 수여되는 상이다[1]. 이 상은 총 6개 부문 (평화, 문학, 물리학, 화학, 의학, 경제학)으로 나뉘는데, 아직까지 수상자 명단에 이름을 올린 한국인은 평화 부문에서 2000년에 수상하신 김대중 전 대통령이 유일하다. 경제 부문에서는 역시 올해도 한국인 수상자는 명단에 오르지 못했다. 그동안 노벨상은 수상 법칙[2]이 있을 정도로 다양성에 인색했다. 노벨상 수상 법칙이란, 밀턴 프리드먼이 1976년에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할 당시에 제시한 것인데, 통계학적으로 분석했을 때 성별이 남성이고, 국적이 미국인이며, 시카고 대학을 나왔을 때 수상하기 유리한 조건이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그래서인지 아직까지 .. 2019. 10. 24.
Seventeen “seventeen” joy written october 17, 2019 Note: The “▶” indicates a song title, namely ones I listened to for inspiration. Tomorrow is my 18th birthday.Today is my last day being 17. I. ▶ Go back 집에 - Se So Neon 새소년 Trains embody a sense of nostalgia that hugs every passenger. The bumps on the tracks; the sound of t.. 2019. 10. 23.
기쁨의 이면 사람들에겐 여러 감정이 있다. 그런데 우리가 사는 세상은 오직 기쁜 감정을 좋은 감정이라고 흔히 생각한다. 최근, 젊은 인기 아이돌들이 극단적인 선택을 해 우리에게 큰 슬픔과 충격을 주었다. 그들은 사람들이 보고 싶어 하는 모습과 자신의 진짜 내면 모습의 차이에 괴리감을 느꼈고, 또 기대하는 모습을 보여주지 않는다는 이유로 수많은 악성 댓글에 오랫동안 시달려야 했다. 어떤 이들은 텔레비전을 보면서 연예인들이 예능 방송 중 웃지 않는 모습을 보이면, 방송에 대한 예의가 없다며 비판을 하기도 한다. 어쩌면 우리는 연예인의 진짜 내면을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들이 보고 싶어 하는 외면을 사랑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이처럼 우리는 어느 새부턴가 자신의 슬픔을 숨기고 기쁜 모습을 보이는 것이 매력적이고 행복한 .. 2019. 10. 21.
The Modern Knight The Modern Knight Sir Loin: And what would you like me to do with all these heads my Lord? Shall I hang them from our nation’s flags so that our enemies can see our victories?King Angus the Third: My my, aren’t you cunning. Go ahead and do so. Sir Loin: Of course, my liege. My Lord, may I ask you something. King Angus the Third: Go on. Sir Loin: Me Lord, it’s just that… (looks at the ground). Ki.. 2019. 10. 18.
기계가 지배하는 세상 “로봇들이 우리 세계를 지배하게 되면 어떨까?”라는 생각은 누구나 어렸을 적 한 번씩은 해봤던 생각일 것이다. 어렸을 때는 우스갯소리로 넘겼을지 몰라도 최근에 인공지능이 빠르게 발달하면서 사람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수많은 일자리들이 완전히 바뀌지 않을까 라는 우려는 어느 정도 생각해볼 만한 것 같다. 인류는 기계와 장치의 등장 이후 기계가 ‘지능형 기술’ 즉 살아있는 것처럼 스스로 생각하고 그거에 대해 반응하며 상호작용한다는 개념에 사로잡혀왔다. 위에 필자가 언급한 질문은 그리 먼 미래가 아니다. 최근 인공지능 기술의 빠른 성장은 우리가 상상해왔던 ‘지능형 기술'의 미래를 현실화하고 있다. 사무직 종사자 또는 이마트와 같은 대형마트의 캐셔의 숫자가 급격히 줄어든 것만 봐도 현재의 상황을 알 수 있다. 현재.. 2019. 10. 17.
Favorite album review: CTRL by SZA Favorite album review: CTRL by SZA Born in 1990, by the time she released her album CTRL in 2017, SZA was at the denouement of her twenties—what most would call the best years of one’s life. As the saying goes, youth is a beautiful thing, yet it seems to be a hard thing to balance: enjoy it too much and you’ll be left without friends, love, and hope. Enjoy it too little, you’ll be stuck with reg.. 2019. 10. 16.
다저스와 로버츠의 불편한 동행, 계속될까? 2019년 10월은 MLB 선수들과 팬들에게 있어서 최고의 달이다. 162게임의 정규 시즌 대장정을 마치고, 포스트시즌이 시작되는 10월이다. MLB 포스트시즌은 와일드카드 결정전(단판)- 디비전 시리즈 (5전 3 승제)- 리그 챔피언십시리즈 (7전 4 승제)- 월드시리즈 (7전 4 승제) 순으로 진행된다. 필자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의 금메달 신화를 목격한 뒤, 야구라는 스포츠에 푹 빠지게 되었다. 2008년 류현진 선수의 압도적인 투구를 보고, 류현진이라는 선수가 뇌리에 인상 깊게 남았고, 2014년 류현진 선수의 메이저리그 진출 이후, 필자는 류현진의 열렬한 팬이 되었다. 이와 동시에 필자는 류현진의 팀인 LA 다저스를 응원하게 되었다. LA 다저스는 한국인들에게 친.. 2019. 10. 14.
Asian Inferiority Complex in·fe·ri·or·i·ty com·plexnounan unrealistic feeling of general inadequacy caused by actual or supposed inferiority in one sphere, sometimes marked by aggressive behavior in compensation. Everyone probably has developed a complex, in one form or another, at least once in their lifetime. Complexes can come in many forms. One that is particularly well-known is called “Inferiority Complex”- a comple.. 2019. 10. 11.
아홉수 우리는 두 달 뒤면 서른이 된다. 1)최근에 임이 한국에서 놀러 왔었다. 오랜만에 보는 친구는 아니었다. 한국에 들어갈 때면 바쁜 직장 생활을 하면서도 꼭 시간을 내주어 서로 사는 얘기를 주고받곤 했으니까. 임과 나는 한국에 있는 광고 동아리에서 만난 사이였고 술을 좋아하고 광고를 좋아하던 우리는 마음이 잘 맞아서 금세 가까워졌었다. 그로부터 시간은 꽤나 흘렀지만, 만날 때면 항상 서로가 알고 있는 각자의 찌질했던 과거사나 지우고 싶은 기억같은 것들을 어떻게 잊지도 않고 끄집어내며 짓궃게 놀리는게 일상인. 그만큼 편하고 가까운 사이다. 그런 임이 이번에 결혼을 한다. 언제까지고 자유로운 영혼일 줄 알았던 임이 결혼을 한다니. 솔직히 말하자면, 임이 결혼을 한다는 것은 상상도 하지 못했던 일 이었다. 왜냐.. 2019. 10. 10.
Talking to the Moon talking to the moonBY KRISTEN KIM Something about nighttime makes the world feel like a stage. The lights are turned off, the audience is quiet, with only a spotlight illuminating your shadowy figure.Darkness shrouds your vision, as shadows dance before an invisible audience. Who could be watching? Who is out there listening? night creates actors, immerses them in the fervor of their monologues... 2019. 10. 9.
우리, 친해질 수 있을까 요즘의 세상 분위기는 갈수록 활자를 멀리하고 있다. 지난 몇 년간 ‘독서율이 얼마만큼 떨어졌다’던가, ‘서점의 매출이 얼마만큼 떨어졌다’던가 하는 이야기들이 끊임없이 들려왔다. 한때는(어렸을 때) 책 좀(정말 조금) 읽었었던 본인은 어느샌가 의식하지 않으면 책을 집어 들지도 않게 되었다. 그리고 요즘은 ‘성인 평균 한 달 독서량이 몇 권’이니 하는 소식들을 접할 때마다 뜨끔하는 죄책감도 무뎌진지 꽤 오래전이다. 예전에는 책을 좀 읽어보자는 취지의 TV 프로그램이 있었을 정도로 독서를 권장하는 분위기가 성행했었고, 지식의 상징은 곧 책이었다. 하지만 시대가 빠르게 변하는 지금 현재는 그렇지가 않다. 손만 몇 번 까딱거리면 알고 싶었던 정보의 대부분을 찾아볼 수 있고, 심지어는 옛날 옛적 읽어본 재미난 책의.. 2019. 10. 8.
What Loneliness and Galaga Have in Common What Loneliness and Galaga Have in CommonRed Loneliness drowns you. Washes you away. Lashes at you like a cat hiding underneath the bed; pouncing out when it so pleases. Choice doesn’t belong to you. Loneliness comes and goes as it pleases; sometimes with elegance, other times like the you that chased the cute girl with short black hair back in middle school - the girl you reminisce whenever her.. 2019. 10. 4.
부산에 걸맞지 않는 김해국제공항 대한민국은 자유시장 경제질서를 기본으로 하는 국가이기 때문에, 수요가 올라간다면 공급도 그만큼 자연스럽게 올라가는 경제체제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적어도 한국의 항공시장에서는 이러한 경제질서가 잘 지켜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부산을 포함한 동남권 수요를 담당하는 김해국제공항이다. 필자는 서울에 살고 있기 때문에 해외에 나갈 때 항상 편리하게 인천국제공항 또는 김포국제공항을 이용하지만, 지방에 살고 있는 주위 사람들로부터 해외여행을 할 때 생기는 고충에 대해서 많이 들어본 적이 있다. 김해국제공항에는 최근에 생긴 싱가포르 노선을 포함해 방콕, 다낭, 호찌민 등 5-6시간 걸리는 중거리 국제선들은 존재하지만, 미주, 유럽 또는 대양주로 가고 싶은 사람들은 반드시 어느 한곳을 경.. 2019. 10. 1.
VAR: Save or Kill Football? VAR: Save or Kill Football? By Jay Kim, English Columnist As the referee faces the crowd and draws out a big rectangle, Manchester City and Tottenham Hotspurs coaches, players, and supporters alike anxiously stares into the LED screen located in the corner of the fully-seated Etihad Stadium during a heated Champions League match on April 17. A sense of tension pervades throughout the stands. Aft.. 2019. 4.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