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16

국제학생으로 미국에서 인턴 하기 국제학생으로 미국에서 인턴 하기 Experiencing an Internship in US as an International Student 버클리 학생들은 여름방학 동안 다들 여러 알찬 생활을 보냅니다. 일자리를 찾으시는 선배님들, 혹은 과외를 하시는 분들도 있을 것이고, 계절학기를 듣거나 다음학기를 위해서 재충전을 하시는 분들도 있겠지요. 저는 1학년을 마치는 여름으로 샌프란시스코에서 두 달 동안 인턴을 했는데요, 아무래도 저희가 공부도 공부지만 영원히 학생일수는 없기 때문에 미리 관심분야에 대해 실제 경험을 가져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초등학교에서 중학교, 고등학교를 지나 대학에 가듯이 직장생활은 우리 삶의 자연스러운 연장선에 있는데요, 대학 입시를 고등학교 때 준비하듯 취업 준비 또한 대.. 2011. 8. 11.
BerkOP Hall of Fame - 명예의 전당 버클리오피니언에서는 필자와 방문자들의 좀 더 나은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출판되어 잊혀진 글, 과거에 활동했던 필진들 중에서 잊혀지기 아까운 기록을 세운 컨텐츠들을 미래의 독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이슈가 되었던 글들을 따로 모아 보관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전세계에서 찾아오는 독자들을 위해 트래픽 정보를 간단하게 제공하고 있습니다. # Daum View Best 국내 3대 미디어 포털 중 하나인 Daum넷에서 제공하는 메타블로그 서비스인 Daum View에서 네티즌들의 많은 관심을 받은 버콥의 글들입니다. 현재 다음 뷰에는 약 28만명의 블로거가 활동 중입니다. 버클리오피니언에서는 앞으로도 양과 질적으로 더 향상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국사, 필수 과목인가 선택 과목인가 (2010년 10월 .. 2011. 8. 8.
BerkOP FAQ English #1 How to Join - Register on Tistory - http://www.tistory.com (Invitation process required) - Let an admin know you have registered - Register on the BerkOP team blog #2 How to Upload Articles - We will decide on an uploading schedule during meetings - Upload by date you are assigned. (Make sure you makr the upload "private" or "비공개" ) - The articles will be published to publics on the d.. 2011. 8. 8.
BerkOP History - 역사 2012 2012. 08 블로고스피어 베스트 @ Daum View: 여왕의 패션: 여성리더들의 성공과 그녀들의 패션철학 2012. 07 블로고스피어 베스트 @ Daum View: 21세기의 인터넷 문화 - 마녀사냥은 No, 합리적인 의견 Yes. 2012. 06 블로고스피어 베스트 @ Daum View: 교수권 오남용데 대하여, 교수와 학생의 관계란? 2012. 04 새 스태프 가입 음악채널 ♬친절한 OSKi 개국 (Berkora 흡수) 1대 회장 김성현 퇴임 (2010/10/10 - 2012/4/31) 2대 회장 한상윤 취임 (2012/4/31)2012. 02 홈페이지 리뉴얼 새 CI 공개 4기 활동 시작 (8명) 스태프: 김성현, 이지혜, 배윤주, 나호인, 한상윤, 이은민, 서샤론, 이원희 블로고스피.. 2011. 8. 8.
BerkOP Celebrities 버클리 오피니언에서 진행했던 인터뷰나 참석했던 강연회에서 연결점을 만들어주신 분들입니다. 심상정 전 국회의원 Sangjeong Shim, a former member of National Assembly in South Korea 2008.03~2009.03 진보신당 공동대표 2008.03~2008.05 제17대 진보신당 국회의원 2006.08 민주노동당 한미FTA저지 특별위원회 공동위원장 2006.06 국회 한미FTA특별위원회 위원 "20대, 연대와 협력을 통해 복지사회로" 서현진 아나운서, 미스코리아 Hyun-Jin Seo, TV broadcaster at MBC 소속 MBC (아나운서) 학력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무용 학사 데뷔 2001년 제45회 미스코리아 선발대회 선 하이트 무용을 좋아하던 소녀, .. 2011. 8. 8.
BerkOP Membership :: 3기 - Fall 2011 E.P Major: Media studies Interests: 스시, 향기, 숙면, 댄스, 아프리카 초원, 여행 Favorite Article: 연애가 학업에 미치는 영향 by cielographer 무인도에 가져갈 3가지: 음식, 남자, 총 aesthetically Major: architecture Minor: music Interests: food & wine, music & arts, movies & books, museums & concerts, fashion & styling, people & traveling, fitness & health Favorite Article: 건축으로 알아보는 포스트모더니즘 무인도에 가져갈 3가지: wi-fi connection, macbook, guitar .. 2011. 8. 8.
BerkOP Membership :: 2기 - Spring 2011 Philoniusphunk Major: Business, Music Interests: 사진, 요리, 작곡, 악기 연주 Favorite Article: 꿈을 추고 열정을 연기하다 - UC 버클리 졸업생 김 숭 무인도에 가져갈 3가지: 여친, 카메라, 4G 기능 탑재 랩탑 ※Background: 한국 (8년), 버클리 (4년), 하와이 (2년), 오하이오 (1년), 일본 (6년), 스페인 (2년) Phantomkid Major: Economics, Industrial Engineering and Operations Research Interests: 검도, Motorcycle, Tennis, 당구 Real Name: 정종우 Gender: 남자 Extra Activities: 검도부 ※41개국 일주 경험 æ.. 2011. 8. 8.
BERKOP Membership :: 1기 - Fall 2010 스프링데일 Major: Political Science, Japanese Interests: 東方神起, SG Wannabe, 한국, 일본, 돈, 사람, KUNA, 담배, 콜라, 레드불, 당구, 스갤, 블로그 Favorite article: 한국에서 '표준'이란? 무인도에 가져갈 3가지: 여자, 어린 여자, 좀 더 어린 여자 Real Name: 김성현 | Demian Sunghyun Kim Gender: 남자 Extra Activities: KUNA, Valero of Palo Alto Personal Blog: 粉雪、Springdale - http://konayuki.kr/ ※서울, 용인, 성남, Cerritos, Palo Alto, Berkeley 거주 숲틱HS Major: Economics Inter.. 2011. 8. 8.
BerkOP Organization - 조직도 Editorial | 편집부 - Korean - English - Visual Graphics Internal Affairs | 내무부 - Membership - Conference - Schedule - Secretary - Treasurer External Affairs | 외무부 - Alumni - 3rd Party Public Relations | 홍보부 - Event Planning - Advertisement - Publication 2011. 8. 8.
#3-7. 버클리에서 꼭 해 봐야 하는 리서치 - Scientific Research for Undergraduates I : General Idea & Approach 인생을 살면서 해봐야 ‘꼭’ 해봐야 할 것이 한 두 가지가 아니다. 해 보고 싶은 것은 셀 수 없지만 주어진 시간은 유한 적이기 때문에 우리는 때때로 딜레마에 빠지곤 한다. 그럴 때마다 가끔 ‘살면서 꼭 해봐야 하는 몇 가지’ 라거나 ‘죽기 전에 해야 하는 몇가지’ 류의 인생 지침서들을 훑어보곤 한다. 너무나도 해볼 것이 많은 버클리에서의 대학생활, 독자들에게 조그만 보탬이 되고자 버클리오피니언의 졸업반 필진들이 모여 ‘버클리에서 꼭 해봐야 하는 7가지’라는 주제로 Official Press를 준비하였다. 첫 번째 - 버클리에서 꼭 가 봐야 하는 맛집 / cielographer 두 번째 - 버클리에서 꼭 들어 봐야 하는 수업 / desy1004 세 번째 - 버클리에서 꼭 해 봐야 하는 운동 / phant.. 2011. 8. 8.
키 vs 뼈 vs 아메리칸 다이어트 안녕하세요 버클리에서 분자생물학을 공부하고 있는 이제 4학년이 되는 Atomicwriter 입니다. 이제 저의 MCAT 클래스가 여름방학과 함께 거의 막바지를 향해가고 있었습니다. 오늘은 생물시간이었고 뼈와 근육을 배운다네요. 한참을 배우는데 선생님께서 “아메리칸 다이어트는 뼈를 다치게 한다” 라는 말을 했습니다. 그래서 갑자기 뼈에 대해서 글을 쓰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키컸으면~ 키컸으면! 뼈를 이야기하기 전에 키 이야기를 하지 않을수가 없네요. 특히 한국사람들이 키에 굉장히 민감하다는 것은 다들 아실겁니다. 루저 발언에서 부터 170은 넘어야 된다는 등 여러 언론 폭탄이 이런 민감한 이슈를 더욱 자극하고 있는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합니다. 필자도 작은 키는 아니지만 18.. 2011. 8. 6.
#3-6. 버클리에서 꼭 해봐야 하는 과외활동 (Extra-Curriculars) 인생을 살면서 해봐야 ‘꼭’ 해봐야 할 것이 한 두 가지가 아니다. 해 보고 싶은 것은 셀 수 없지만 주어진 시간은 유한 적이기 때문에 우리는 때때로 딜레마에 빠지곤 한다. 그럴 때마다 가끔 ‘살면서 꼭 해봐야 하는 몇 가지’ 라거나 ‘죽기 전에 해야 하는 몇가지’ 류의 인생 지침서들을 훑어보곤 한다. 너무나도 해볼 것이 많은 버클리에서의 대학생활, 독자들에게 조그만 보탬이 되고자 버클리오피니언의 졸업반 필진들이 모여 ‘버클리에서 꼭 해봐야 하는 7가지’라는 주제로 Official Press를 준비하였다. 첫 번째 - 버클리에서 꼭 가 봐야 하는 맛집 / cielographer 두 번째 - 버클리에서 꼭 들어 봐야 하는 수업 / desy1004 세 번째 - 버클리에서 꼭 해 봐야 하는 운동 / phant.. 2011. 8. 3.
#3-5. 버클리에서 꼭 가 봐야 하는 명소 인생을 살면서 해봐야 ‘꼭’ 해봐야 할 것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 해 보고 싶은 것은 셀 수 없지만 주어진 시간은 유한적이기 때문에 우리는 때때로 딜레마에 빠지곤 한다. 그럴 때마다 가끔 ‘살면서 꼭 해봐야하는 몇 가지’ 라거나 ‘죽기전에 해야하는 몇가지’ 류의 인생 지침서들을 훑어보곤 한다. 너무나도 해볼 것이 많은 버클리에서의 대학생활, 독자들에게 조그만 보탬이 되고자 버클리오피니언의 졸업반 필진들이 모여 ‘버클리에서 꼭 해봐야하는 7가지’라는 주제로 Official Press를 준비하였다. 첫 번째 - 버클리에서 꼭 가 봐야 하는 맛집 / cielographer 두 번째 - 버클리에서 꼭 들어 봐야 하는 수업 / desy1004 세 번째 - 버클리에서 꼭 해 봐야 하는 운동 / phantomkid .. 2011. 6. 22.
#3-4. 버클리에서 꼭 가 봐야 하는 도서관 인생을 살면서 해봐야 ‘꼭’ 해봐야 할 것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 해 보고 싶은 것은 셀 수 없지만 주어진 시간은 유한적이기 때문에 우리는 때때로 딜레마에 빠지곤 한다. 그럴 때마다 가끔 ‘살면서 꼭 해봐야하는 몇 가지’ 라거나 ‘죽기전에 해야하는 몇가지’ 류의 인생 지침서들을 훑어보곤 한다. 너무나도 해볼 것이 많은 버클리에서의 대학생활, 독자들에게 조그만 보탬이 되고자 버클리오피니언의 졸업반 필진들이 모여 ‘버클리에서 꼭 해봐야하는 7가지’라는 주제로 Official Press를 준비하였다. 첫 번째 - 버클리에서 꼭 가 봐야 하는 맛집 / cielographer 두 번째 - 버클리에서 꼭 들어 봐야 하는 수업 / desy1004 세 번째 - 버클리에서 꼭 해 봐야 하는 운동 / phantomkid .. 2011. 5. 31.
#3-3. 버클리에서 꼭 해봐야 하는 운동 인생을 살면서 해봐야 ‘꼭’ 해봐야 할 것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 해 보고 싶은 것은 셀 수 없지만 주어진 시간은 유한적이기 때문에 우리는 때때로 딜레마에 빠지곤 한다. 그럴 때마다 가끔 ‘살면서 꼭 해봐야하는 몇 가지’ 라거나 ‘죽기전에 해야하는 몇가지’ 류의 인생 지침서들을 훑어보곤 한다. 너무나도 해볼 것이 많은 버클리에서의 대학생활, 독자들에게 조그만 보탬이 되고자 버클리오피니언의 졸업반 필진들이 모여 ‘버클리에서 꼭 해봐야하는 7가지’라는 주제로 Official Press를 준비하였다. 첫 번째 - 버클리에서 꼭 가 봐야 하는 맛집 / cielographer 두 번째 - 버클리에서 꼭 들어 봐야 하는 수업 / desy1004 세 번째 - 버클리에서 꼭 해 봐야 하는 운동 / phantomkid .. 2011. 5. 18.
미래를 이끌 UC 버클리의 인재들에게 버클리란? [객원필진 김계현] Berkeley Opinion을 이끄는 후배에게서 오랜만에 연락이 오고 이런저런 얘기를 나누다가 글 한 편을 부탁받았을 때만 해도 어렵지 않은 일이라며 흔쾌히 수락했지만 버클리 공동체의 수많은 학우들과 공유하는 글을 쓰는 것이 정말로 쉽지 않음을 절실히 느낍니다. 대학원에서의 바쁜 일상 속에서 한동안 모교의 소식은 가슴 속 호기심으로만 남아 있다가 후배와 대화를 나누면서 잠시 한 걸음 물러서서 뒤를 바라보니 1년이라는 길지 않은 시간 동안에도 정말 많은 것이 바뀌고 새로운 것이 생겨나는 역동적인 버클리가 새삼 크게 다가옵니다. 제가 신입생이던 시절만 해도 버클리의 한국 유학생 수는 지금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만큼 적었고 그만큼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진 공동체적 활동은 극히 미미했습니다. 만 21살이 .. 2011. 5. 10.
인류의 5%만 알고 있는 진실: 지구야 미안해 아낌없이 주는 부모님의 사랑에도 감사함을 느끼지 못하는 철부지 아이처럼, 인간은 대자연 앞에 한 없이 이기적이고 철 없는 아이가 되곤 한다. 단 하나 뿐인 지구의 먼 훗날을 생각하지 않고 무분별하게 개발되고 남용당한 자연은 이제 도리어 우리 인간을 공격하고 있다. 태평양 쓰레기 섬에 대해서 들어 보았는가? 위성에서도 찍히지 않고 지도 상에도 나타나 있지 않지만 전 세계 해양에 떠다니는 거대 쓰레기 섬은 알려진 것만 5개이고 규모 또한 우리 상상을 초월한다. 그 중에서도 소위 ‘태평양 대쓰레기장’ 이라 불리는 이 섬은 하와이 북동쪽 1,600km 가량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고 남한 면적의 14배 (140만㎢) 에 달하는, 가히 제 7의 대륙이라 불릴 만한 규모를 자랑한다. 2001년 해양학자 조사에 따르.. 2011. 5. 4.
[시사채널b 7회] 2011년 5월 11일 :: BerKast * 수많은 드라마를 연출하며 막을 내린 4.27 재보선! 결과는 1:2 여당의 참패! 그 여파는? * 서태지-이지아 소송 후폭풍 * 이혜영 재혼 * 하찮은 소식들 * 우리 동아리, 이것만큼은 1등이다!, 스탭내 연애에 대한 생각은?, CKS, KUNA 회장의 외모 자신감, Ginosko 서 회장의 지키지못할 약속? Ego 이 회장의 필살 애교까지! 화제만발 차기회장 특집! BerKast 시사채널b의 2011 봄학기 마지막 방송 이자, BerKast 박순종 아나운서의 고별방송! 많은 청취 부탁드려요~ #7회 선곡표# 김장훈, ‘쇼’ / 김동률, ‘출발’ / DJ DOC, ‘나 이런사람이야’ / 윤상, ‘이사’ / 토이 (feat.이지형), ‘뜨거운 안녕’ 2011. 5. 4.
DJ 동우& DJ 성준의 마지막 방송, 방송 #37 (4/29/11) :: Berkora DJ 동우& DJ 성준의 마지막 방송, 방송 #37 (4/29/11) :: Berkora 여러분, 여태까지 버코라 들어주셔서 너무나 감사합니다! 다음 학기도 여러분 세로운 DJ와 함께 더욱 더 좋은 버코라를 함께 만들어 주세요! 2011. 4. 30.
내일이 드디어 마지막… :: Berkora 내일 (목요일) 드디어 DJ 동우와 DJ 성준과 함께하는 마지막 버코라 방송을 녹음할 예정입니다. 마지막으로 듣고싶은 노래를 신청곡 에, 마지막으로 하고싶은 말은 게시판에 올려주세요. -DJ 동우 2011. 4. 28.
버클리에서 교환학생으로 살아가는 법 [객원필진 양정우] 어느덧 버클리를 떠난 지 1년이라는 세월이 지났다. 1년이라는 짧지도 길지도 않은 시간을 버클리에서 지나면서 10년치 경험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말 많은 것을 보고 배웠다. 그 아름다운 추억들, 평생 알고 지내고 싶은 소중한 인연들을 두고 오기란 정말 쉽지 않았다. 하지만 어느덧 시간은 지나고 있었고 각자의 바쁜 일상에 치이며 관계가 소원해질 때 즈음 이러한 글을 쓰며 지난 날을 추억해보는 일은 분명 값진 일이다. 나는 군 제대를 하고 1년여 간의 준비기간을 거치고 2009년 8월, UC 버클리에 교환학생의 자격으로 입성을 하였다. 그토록 발걸음을 떼어 내기 어려웠던 샌프란시스코 국제 공항, 처음에는 정말 낯설었던 풍경이었고, 한국과는 다른 너무나 평온해 보였던 캠퍼스 역시 적응하기 힘들었다. 지금부터 짧.. 2011. 4. 28.
BERKOP at UC Berkeley Introduction - 언론동아리 버클리오피니언 버클리오피니언 (약칭 버콥)은 2010년 UC Berkeley에 재학 중인 7명의 학생들로부터 시작된 준 언론사를 표방하는 언론단체입니다. 각자의 전문 분야, 전공 분야에서 멤버들의 특징을 잘 살려 그 생각들을 글이라는 매체를 통해 독자들과 필자들의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고, 나아가서는 학교 내 뿐만이 아닌, 미국과 한국, 그리고 전세계와 연결하고자 합니다. 버콥에서 출판되는 글들은 그 장르나 주제에 대해 제한을 두지 않으며 다방면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으며, 현재 25명이 넘는 멤버들이 제공하는 양질의 컨텐츠들을 제공하고 학교 내의 행사들을 중계하는 역할도 하고 있습니다. 소중한 독자들의 기대와 바램에 어긋나지 않는 버콥이 되는 그 날까지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BERKOP, or Berkel.. 2011. 4. 27.
방송 #36 (4/21/11) :: Berkora Berkora: 방송 #36 (4/21/11) :: Berkora 2011. 4. 25.
#3-2. 버클리에서 꼭 들어 봐야 할 수업 인생을 살면서 해봐야 ‘꼭’ 해봐야 할 것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 해 보고 싶은 것은 셀 수 없지만 주어진 시간은 유한적이기 때문에 우리는 때때로 딜레마에 빠지곤 한다. 그럴 때마다 가끔 ‘살면서 꼭 해봐야하는 몇가지’ 라거나 ‘죽기전에 해야하는 몇가지’ 류의 인생 지침서들을 훑어보곤 한다. 너무나도 해볼 것이 많은 버클리에서의 대학생활, 독자들에게 조그만 보탬이 되고자 버클리오피니언의 졸업반 필진들이 모여 ‘버클리에서 꼭 해봐야하는 7가지’라는 주제로 Official Press를 준비하였다. 버클리에서 꼭 해 봐야 하는 7가지 첫 번째 - 버클리에서 꼭 가 봐야 하는 맛집 / cielographer 두 번째 - 버클리에서 꼭 들어 봐야 하는 수업 세 번째 - 버클리에서 꼭 해 봐야 하는 운동 네 번째 .. 2011. 4. 24.
美 명문대에서 울려 퍼지는 한류의 과거와 미래, 그리고 세계화 외국 대학교의 수업에서 김광석의 노래가 울려 퍼진다면? 외국 학생들과 서태지나 조용필 같은 저명한 한국 음악가들에 대해 논할 수 있다면? 흔히 알려져 있는 “한류” 라는 단어 속에서 우리가 느끼는 것들은 수 없이 많다. 드라마나 음악, 영화 등 전반적인 여러 문화 산업들을 앞세워 아시아, 넓게는 중동과 유럽, 미국에도 그 영향력을 떨치고 있는 한류. 그 중심에 있는 것은 아마도 동방신기나 소녀시대 같은 가수들, 이영애나 배용준 같은 연기자들이며, 지금도 이 들의 활동 영상등이 유튜브나 비디오 등을 통해 전세계의 팬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그렇다면 그런 한류의 뿌리는 어디서 온 것일까? 모든 사람은 자신의 기원을 어머니로 두듯, 모든 현상들은 그 고유의 뿌리와 원류를 가지고 있다. 과거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 2011. 4. 23.
The 1st Annual Concert of ChoA :: CKS ChoA Time: Saturday, April 30 · 7:00pm - 10:00pm Location: 2060 VLSB (Valley Life Science Building) 안녕하세요. CKS Korean Hiphop Subcommittee, 초아(ChoA)입니다. 저희 초아에서 이번에 지난 두 학기에 걸쳐 작업한 양질의 자작곡들과 대중적인 힙합노래들로 무대를 준비하여 버클리 한인학생 여러분들을 이 자리에 초대하고자 합니다! "꿈, 희망, 열정, 좌절, 고민, 만남, 사랑, 이별, 슬픔, 그리움, 그리고 졸업이라는 새로운 시작." 이번 콘서트를 통해 UC Berkeley라는 대학에 온 우리 모두가 한번씩은 보고 듣고 생각하고 느낄 수 있었던 감정들을 랩과 노래라는 음악적 매체로써 버클리 한인학생 여러분들과 .. 2011. 4. 22.
The 11th Annual KASA Culture Show "Seoul Got Soul" ft. Dumbfoundead :: KASA Hello, Everyone The time has come for another annual KASA Culture Show! As many of you know, KASA Culture Show is the biggest KASA event and we would love to invite every one of you to this year's Culture show on April 23, 2011 right around time before preparing for finals!! ...KASA Culture Show will take place at Julia Morgan on 2640 college Ave. The performance will start at 7:30pm but the doo.. 2011. 4. 20.
인연의 힘 [객원필진 Anonymous] 이 글은 2011년 봄학기에 IEOR (산업공학)전공으로 졸업예정이신 선배님께서 기고해 주셨습니다. 버클리 오피니언에 글을 써달라는 부탁을 받았을 때 솔직히 부끄러운 마음이 먼저 들었다. 딱히 내세울 것이 없기 때문이다. GPA가 그렇게 높지도 않고 영어를 아주 잘하는 것도 아니다. 뒤를 봐주는 어른들이 있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하지만 필자에게는 분명 평범한 유학생들이 갖고 있지 않은 자산이 있다. 적지 않은 나이에서 오는 연륜과 다양한 배경의 친구들이 그것이다. 졸업을 앞둔 대학 선배가 후배들에게 허심탄회하게 들려주는 이야기로 받아들여지는 마음에 몇 자 적어본다. 다소 과장된 말일 수도 있으나 대다수의 유학생들은 미국 도착과 동시에 일종의 선택을 해야 한다. 다른 한국인 유학생들과 주로 어울릴 것인가.. 2011. 4. 19.
특별한 인생의 쉼표, 유럽에 튼 세 번째 둥지 :: (2) 스릴만점 배낭여행! - 유럽여행 팁 첫 번째 편에서 다루었다시피 필자의 교환학생 프로그램은 막연한 기대감에서부터 시작 되었다. 그 기대감에는 물론 보편적으로 유럽을 연상하면 떠올릴 수 있는 배낭여행도 포함 되어 있었다. 가난한 학생의 신분으로 무일푼으로 떠나는 여행이야 말로 젊을 때 아니면 해볼 수 없는 경험아닌가. 보편적으로 학생들이 많이 느끼는 미래에 대한 불확실함 그리고 금전적인 불안정함 속에서 절박하게 무언가를 갈구 할 때 느꼈던 압박감에서 떠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필자의 유럽에서의 삶은 미국에서의 풍족했던 삶과는 달랐다 (여기서의 풍족함은 물질적인 풍족함 보다는 의식주에 대한 걱정 없이 하고 싶은 건 웬만해서 다 할 수 있는 여건이 주어진다는 것에서 느낀 풍족함을 말한다). 학자금도 지원 받은 상태였고 교환학생 때 할 활동들.. 2011. 4. 15.
건축으로 알아보는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분명 들어 본 적 있는 익숙한 단어 같지만, 막상 설명하려니 정확히 무엇인지는 잘 모르겠다면, 당신은 아마도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해 매우 잘 알고 있는 것이다. 확실하지 않은 것. 그것이 바로 포스트모더니즘의 본질이다. Post-modernism라는 단어 자체가 암시하듯 그것은 후기-모더니즘이다. 즉 1920년대를 풍미하던 모더니즘 다음으로 일어난 전반적인 movement라고 쉽게 이해 할 수 있다. 하지만 사실 POST라는 접두사는 단순히 후기라는 뜻보다는 초월한다는 의미의 ‘탈’로서 해석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그래서 사람들은 포스트모더니즘을 탈모더니즘이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무엇이든 물어보라던 네이버는 포스트모더니즘을 이렇게 정의한다. “1960년대에 일어난 문화운동이면서 정치, 경제.. 2011. 4. 14.